호텔이용권 지급 가능 여부 및 호텔의 근로복지시설 해당 여부
【질의요지】
ㆍ (질의1) 직원 복지증진을 위해 사내근로복지기금으로 호텔이용권 지급이 가능한지
ㆍ (질의2) 위 질의1이 가능하다면 정관에 동 사업을 명시하여야 하는지
ㆍ (질의3) 동 호텔이 「근로복지기본법」 제62조의 근로복지시설에 해당하는지
【회답】
(질의1ㆍ2) 사내근로복지기금법인(이하 '기금법인')은 「근로복지기본법」(이하 '법') 제62조제1항 및 법 시행령 제46조제2항에 따라 사용자가 임금 및 그 밖의 법령, 단체협약, 취업규칙 등에 따라 근로자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는 것 외에 근로자의 생활안정 및 재산 형성을 위해 정관으로 정하는 사업을 시행할 수 있는 바,
- 귀 질의와 같이 직원의 복지 증진을 위해 호텔이용권을 제공하는 사업이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는 내용이 아니라면, 정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기금 법인의 사업으로 시행할 수 있을 것임.
(질의3) 법 제62조제1항제5호에 따른 '근로복지시설'은 법 시행규칙 제26조제1항에 따른 근로자를 위한 기숙사, 사내구판장, 보육시설(「영유아보육법」에 따라 사업주가 설치ㆍ운영할 의무가 있는 직장보육시설은 제외), 근로자를 위한 휴양 콘도미니엄, 근로자의 여가ㆍ체육 및 문화활동을 위한 복지회관, 「소득세법 시행규칙」 제15조의2 제1항에 따른 사택만을 의미하는 바, 귀 질의 상 '호텔'은 법 제62조제1항제5호에 따른 '근로복지시설'에 해당하지 않음.
【중앙부처 1차 해석에 대한 안내】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법제처에서 판단한 것이 아니라,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공공데이터로 수집하여 개방한 자료입니다.
해당 법령해석은 당시 법령 등의 기준에 따른 내용이며 현재 폐지·변경된 해석도 포함되어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고,
해석에 대한 효력은 소관 부처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