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임으로 인한 임금 감액이 감급 제재 규정 적용 대상인지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4145, 2021. 12. 9.]
고용노동부(근로기준정책과), 044-202-7579
고용노동부 누리집에서 수집한 데이터입니다.
【질의요지】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에 “강임은 차하위 직급으로 낮추는 것이며,강임직원의 호봉은 승진 당시의 차하위 직급의 승진 전 호봉으로하향 재획정한다.” 라고 규정할 경우 「근로기준법」 제95조에 위반되는지
【회답】
「근로기준법」 제95조는 “취업규칙에서 근로자에 대하여 감급의제재를 정할 경우에 그 감액은 1회의 금액이 평균임금의 1일분의 2분의 1을, 총액이 1임금 지급기의 임금 총액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 여기서 “감급의 제재”라 함은 취업규칙에서 근로자의 복무규율위반에 대하여 정한 징벌적 제재의 일종으로서 근로계약 관계가 존속하고 종래의 직무에 따라 근로를 제공하는 것을 전제로 근로 제공의 대가로 근로자가 받아야 할 임금의 일부를 감액하는 것을 말함.귀 질의 내용만으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 규정이 강임에 따라직무가 변경되고 이에 수반하여 임금이 감액되는 경우라면 근로자의직무가 변경됨에 따라 수반되는 당연한 결과이므로 「근로기준법」제95조(제재 규정의 제한)이 적용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됨.
【중앙부처 1차 해석에 대한 안내】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법제처에서 판단한 것이 아니라,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공공데이터로 수집하여 개방한 자료입니다.
해당 법령해석은 당시 법령 등의 기준에 따른 내용이며 현재 폐지·변경된 해석도 포함되어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고,
해석에 대한 효력은 소관 부처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