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급 관내 우체국장의 공무원노조 가입 가능 여부
【질의요지】
6ㆍ7급 관내 00국장의 실제 담당하는 업무량 및 비중, 업무수행 방식 및 프로세스를 감안하였을 때, 「6ㆍ7급 관내 우체국장이 공무원 노동조합 가입 대상」으로 볼 수 있는지
【회답】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이하 ‘공무원노조법’)」 제6조제2항은 공무원노조 가입 금지 대상에 대해 “①다른 공무원에 대하여 지휘ㆍ감독권을 행사하거나 업무를 총괄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 ②노동조합과의 관계에서 행정기관의 입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 ③교정ㆍ수사 또는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 ④업무의 주된 내용이 노동관계의 조정ㆍ감독 등 노동조합의 조합원 지위를 가지고 수행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으로 규정하고 있음 ‘6ㆍ7급 우체국장’은 「우정사업본부 직제 시행규칙」 제19조(우체국장) 및 제22조(소속관서의 분장사무)에 따라 해당 우체국의 우편ㆍ우편환ㆍ우편대체ㆍ우체국예금ㆍ우체국보험 및 수탁업무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므로 우체국 업무를 총괄하는 지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고,
- 「우정사업본부 현업관서직원 복무관리세칙」 제13조(복무관리자)에 따라 ‘관서장’으로서 소속 직원의 복무를 관리하며, 「우정사업본부 소속공무원 인사관리세칙」 제36조(근무성적평가)제1항 및 별표12에 따라 소속 직원의 근무성적평정 평가자에 해당하는 등 다른 공무원을 지휘ㆍ감독하며 그 복무를 관리할 권한과 책임을 부여받은 공무원으로 판단됨 ‘6ㆍ7급 우체국장’이 비록 소규모(우체국장 포함 2~4인)기관의 장이라고 하더라도 위 규정에 따라 해당 우체국의 업무를 총괄하거나 소속 직원들을 지휘ㆍ감독하는 경우라면 공무원노조법에 의한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됨
【중앙부처 1차 해석에 대한 안내】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법제처에서 판단한 것이 아니라,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공공데이터로 수집하여 개방한 자료입니다.
해당 법령해석은 당시 법령 등의 기준에 따른 내용이며 현재 폐지·변경된 해석도 포함되어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고,
해석에 대한 효력은 소관 부처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