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섭참여 노조간 창구단일화 미합의 시 조합원수 비례 선임의 방법
【질의요지】
교섭참여 노조 간 합의한 조합원 수를 바탕으로 교섭위원을 선임할 경우 각 교섭위원 배분은 어떻게 되는지
【회답】
교섭창구 단일화에 있어 교섭노조간 자율적 합의가 되지 않아 노동조합 간 합의한 조합원 수를 바탕으로 교섭위원을 선임해야 하는 경우 그 구체적인 배분기준 등에 대해 아래와 같이 회신함
Ⅰ. 조합원 수에 비례한 교섭위원 선임기준 1. 관련 법령
○ 교섭노동조합이 2 이상인 경우 노동조합 간 합의에 따라 조직 규모 등을 고려하여 교섭위원을 10명 이내에서 선임하되 정해진 기간 안에 합의하지 못한 경우에는 교섭노동조합의 조합원 수에 비례하여 선임하도록 규정(공무원노조법 시행령 제8조) * 법령상 창구단일화 절차는 ①자율적 합의, ②미합의 시 조합원 수 비례선임
2. 문제점 및 개선방향
○(문제점) 조합원 수에 비례한 교섭위원 선임원칙만 규정하고 있을 뿐 소수점 처리 등 배분방법에 대한 구체적 기준(행정해석 등) 부재로 창구단일화가 지연되어 전체 교섭노조의 교섭권 침해 문제 발생
○(개선 필요성) 교섭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교섭노조 간 조합원 수에 따른 비례선임 기준 명확화 필요
○(개선방향) 비례대표제를 규정한 취지*, 공무원 노사관계 특수성, 광역단위 또는 정부교섭에는 다수의 노동조합이 참여하는 현실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ㆍ구체적인 교섭위원 선임(배분) 방법 마련 * 노조법처럼 과반수 또는 다수 노동조합에 우선권을 부여하기보다는 조합원 수에 비례한 공동교섭대표단을 구성하도록 하여 소수 노동조합도 가급적 폭넓게 교섭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 3. 구체적인 교섭위원 선임기준
○(교섭위원 수) 10명* * 교섭참여 가능성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 공무원노조법 시행령 제8조에서 정한 선임가능한 교섭위원 최대 인원으로 선임
○(구체적인 배분기준) ①교섭노조별로 조합원 수 비례인원 산출→ ②정수 배정→ ③소수점 처리 시 정수가 없는 노조(소수 노조)들의 산출인원 합과 정수가 있는 노조들을 비교하여 큰 순으로 추가 배정(총 10명까지) → ④소수 노조들에 배정된 인원은 소수 노조간 합의로 선임, 미합의시 산출인원이 큰 소수노조에 배정 * 구체적 배분방법 예시: 붙임
II. 조합원 수 비례선임 시에도 교섭노조 대표자 전체 서명 필요여부
1. 관련 법령
○ 교섭노동조합은 정해진 기간 안*에 교섭위원을 선임하여 교섭노동조합 대표자가 각각 서명(또는 날인)한 서면으로 정부교섭대표에게 통보하도록 규정(공무원노조법 시행령 제8조제1항) * 정부교섭대표가 교섭노동조합을 공고한 날부터 20일 이내 2. 문제점 및 개선방향
○(문제점) 교섭위원 배정 결과에 대하여 일부 노동조합이 서명(또는 날인)을 거부하는 창구단일화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 정부교섭대표는 교섭을 거부
○(개선 필요성) 전체 교섭노조의 교섭권 보호를 위해 조합원 수에 비례하여 교섭위원을 선임한 경우에도 반드시 교섭노동조합 대표자 전체 서명(또는 날인)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해 해석 필요
○(개선방향) 조합원 수에 비례한 교섭위원 선임의 객관성ㆍ합리성이 인정된다면 전체 교섭노조의 교섭권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기준마련 3. 교섭 가능여부 판단 기준
○ 정부교섭대표는 교섭노조로부터 통보 받은 교섭위원 선임내용이 아래 판단 기준 등을 종합적 으로 고려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절차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고 인정된다면 - 교섭노조가 교섭위원 선임을 위한 협의절차를 충분히 거쳤는지 - 교섭위원 선임 통보서에 서명을 거부한 교섭노조가 합리적인 사유 없이 조합원 수 확인을 위한 자료제공 등에 협조하지 않았는지 - 교섭노조가 객관적 조합원 수를 기준으로 관련 지침에 따라 위원을 선임하였는지 등
○ 해당 교섭노동조합 대표자들이 공동으로 서명(또는 날인)하거나 각각 서명(또는 날인)한 교섭위원 선임 통보서만으로도 교섭창구단일화가 완료되었다고 보고 교섭 진행 가능 붙임. 조합원 수에 비례한 구체적인 교섭위원 선임방법 예시 소수 노조가 2 이상인 경우
ㆍ(사례) 교섭노조별 조합원 수가 A 10,200명, B 5,600명, C 3,000명, D 800명, E 400명이고, 노조간 자율적 교섭위원 선임 합의가 되지 않은 상황인 경우로 가정 시
ㆍ(구체적인 배분 절차) ①교섭노조별로 조합원 수에 비례한 인원* 산출→ ②정수 배정→ ③소수점 처리 시 정수가 없는 노조(소수 노조)들의 산출인원 합과 정수가 있는 노조들을 비교하여 큰 순으로 추가 배정(총 10명까지) → ④소수 노조들에 배정된 인원은 소수 노조간 합의로 선임, 미합의 시 산출인원이 큰 소수노조에 배정 * 인원 산출시 소수점 이하 표시(비교)는 사례별 상황에 맞게 적용
ㆍ(배정결과) ①A 5.1, B 2.8, C 1.5, (D 0.4 + E 0.2) → ③A 5, B 2+1, C 1, (D+E) 0+1 <총 10명> → ④D, E 노조 배정인원 1명은 두 노조가 자율 합의, 미합의 시 D노조에 배정
| 단계 | 구분 | 합계 | A노조 | B노조 | C노조 | D노조 | E노조 | |
|---|---|---|---|---|---|---|---|---|
| 1단계 | 조합원 수(명) | 20,000 | 10,200 | 5,600 | 3,000 | 800 | 400 | |
| 조합원 비율(%) | 100.0 | 51.00 | 28.00 | 15.00 | 4.00 | 2.00 | ||
| 비례 인원(명) | 10.0 | 5.1 | 2.8 | 1.5 | 0.4 | 0.2 | ||
| 2단계 | 정수 배정(명) | 8.0 | 5 | 2 | 1 | 0 | 0 | |
| 3단계 | 소수 추가 배정 | 소수 비교 | 0.1 | 0.8 | 0.5 | 0.6 | ||
| 배정 인원(명) | 2.0 | 1 | 1 * 합의로 자율 선임 | |||||
| 4단계 | 소수노조간 미합의 시 | 1 | ||||||
| 최종 | 교섭위원 배정(명) | 10.0 | 5 | 3 | 1 | 1 | 0 | |
소수 노조가 하나뿐인 경우
ㆍ(사례) 정부교섭대표가 교섭위원 선임을 요구한 날(’18.9.27)을 기준으로 한 교섭노조별 조합원 수가 A 25,300명, B 5,550명, C 410명이고, 조합원 수에 대해 각 노조가 이견이 없는 것으로 가정 시
ㆍ(구체적인 배분 절차) ①교섭노조별 조합원 수에 비례한 인원 산출→ ②정수 배정→ ③소수점 처리는 소수점이 큰 순으로 추가 배정(교섭위원 총 인원 10명이 될 때까지)
ㆍ(배정결과) ①A 8.093명, B 1.775명 C 0.131명→ ②A 8, B 1, C 0 <이상 9명> → ③B 노조에 1명 추가배정 후 최종 배정인원 A 8, B 2, C 0 <이상 총 10명>
| 단계 | 구분 | 합계 | A노조 | B노조 | C노조 | ||||||
|---|---|---|---|---|---|---|---|---|---|---|---|
| 합계 | A노조 | B노조 | C노조 | ||||||||
| 1단계 | 조합원 수(명) | 31,260 | 25,300 | 5,550 | 410 | ||||||
| 조합원 비율(%) | 100.0 | 80.93 | 17.75 | 1.31 | |||||||
| 비례 인원(명) | 10.0 | 8.1 | 1.8 | 0.1 | |||||||
| 2단계 | 정수 배정(명) | 9.0 | 8 | 1 | 0 | ||||||
| 3단계 | 소수 비교 추가배정(명) | 1.0 | 1 | ||||||||
| 최종 | 교섭위원 배정(명) | 10.0 | 8 | 2 | 0 | ||||||
【중앙부처 1차 해석에 대한 안내】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법제처에서 판단한 것이 아니라,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공공데이터로 수집하여 개방한 자료입니다.
해당 법령해석은 당시 법령 등의 기준에 따른 내용이며 현재 폐지·변경된 해석도 포함되어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고,
해석에 대한 효력은 소관 부처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