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대학 교원 노동조합의 교섭 상대방이 누구인지, 교섭권 위임이 가능한지 등
【질의요지】
① 대학교원노조가 사립대학을 상대로 교섭을 요구하는 경우 교섭에 응해야 하는 사용자는 누구인지, ② 학교법인 이사장이 대학 총장에게 교섭 위임을 할 수 있는지, ③ 대학 총장은 부총장 또는 학장 등에게 교섭 위임을 할 수 있는지, ④ 의과대학에 대학교원노조가 설립될 경우 교섭 상대방은 누구인지, ⑤ 학교법인 이사장 또는 대학 총장이 의무부총장 또는 의료원장(병원장)에게 교섭권을 위임할 수 있는지
【회답】
사립대학 교원노조의 교섭 당사자는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이하 ‘교원노조법’) 제6조제1항제2호에 따라 ‘사립학교 설립ㆍ경영자’이고, 사립학교의 설립ㆍ경영자는 ‘사립학교 교원의 임금, 근무 조건, 후생복지 등 경제적ㆍ사회적 지위 향상에 관하여 권한이 있는 자’ 임
- 고등교육법 제3조에 따르면 사립학교는 학교법인이 설립ㆍ경영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므로 사립학교 설립ㆍ경영자는 학교법인 그 자체임. 참고로 고등교육법 제19조 제1항에 따르면 이사장이 학교법인을 대표함
* 제19조(임원의 직무) ①이사장은 학교법인을 대표하고 이 법과 정관에 규정된 직무를 행하며 기타 학교법인 내부의 사무를 통할한다. 또한, 사립학교의 총장은 사립학교법 제53조*에 따라 사립학교 설립ㆍ경영자에 의하여 임용되고,
* 제53조(학교의 장의 임용) ①각급학교의 장은 당해 학교를 설치ㆍ경영하는 학교법인 또는 사립학교 경영자가 임용한다.
- 고등교육법 제15조*에 따라 당해 학교 교원에 대한 지휘ㆍ감독자로서 학사 관리 등 학교 운영 전반에 대하여 일정한 권한을 행사하고 있으므로 사립학교 법인이 총장 에게 교섭권을 위임하는 것은 가능한 것으로 사료됨
* 제15조(교직원의 임무) ① 총장 또는 학장은 교무(校務)를 총괄하고, 소속 교직원을 감독하며, 학생을 지도한다. 한편, 교원노조법 및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는 교섭 및 체결권한의 복위임에 대한 별도규정은 없으나, 민법의 복위임의 법리를 준용하여 위임인이 이를 허용하는 경우에는 다시 위임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임(노동조합과-1132 참조) 또한, 사립대학교 의과대학에 대학교원노조가 설립된 경우라도 위 답변에서와 같이 교섭상대방은 사립학교 설립ㆍ경영자인 학교법인 그 자체이고, 의과대학이라고 하여 달리 볼 사유는 없고 위임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중앙부처 1차 해석에 대한 안내】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법제처에서 판단한 것이 아니라,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공공데이터로 수집하여 개방한 자료입니다.
해당 법령해석은 당시 법령 등의 기준에 따른 내용이며 현재 폐지·변경된 해석도 포함되어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고,
해석에 대한 효력은 소관 부처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