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용노동부 법령해석 정보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화면내검색 공유하기 즐겨찾기 저장 인쇄

파업기간 및 개인사유로 근로를 제공하지 못한 결근기간 중에 포함 된 관공서 공휴일의 유급휴일 적용 여부

[고용노동부 임금근로시간과-1744, 2021. 8. 4.]
고용노동부(근로기준정책과), 044-202-7579
고용노동부 누리집에서 수집한 데이터입니다.

【질의요지】

파업기간 및 개인사유로 근로를 제공하지 못한 결근기간 중에 포함된 관공서 공휴일의 유급휴일 적용 여부

【회답】

쟁의행위 시의 임금지급에 관하여 단체협약ㆍ취업규칙에서 규정하거나 당사자 사이의 약정이나 관행이 있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근로자의 주된 권리ㆍ의무가 정지되어 근로제공을 하지 아니한 쟁의행위기간 동안에는 근로제공의무와 대가관계에 있는 근로자의 임금청구권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하며, 이에 따라 그 기간 중에 포함된 관공서 공휴일에 대하여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용자는유급휴일로 보장할 의무를 지는 것은 아님(대법원 1995.12.21.선고 94다267721 판결, 대법원 2009.12.24. 선고 2007다73277판결, 2013.11.28. 선고 2011다39946 판결 참조).그러나, 개인적 사정으로 근로를 제공하지 아니한 결근기간(이하‘무단 결근 기간’) 중에는 근로자의 주된 권리ㆍ의무가 정지되는것이 아니라, 단순히 개별 근로자의 근로제공의무의 불이행만 남게되는 것으로,사용자는 여전히 노무지휘권을 행사할 수 있고, 근로자도 여전히근로제공의무를 부담하는 평상적인 근로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할 것이므로, 동 기간 중의 관공서 공휴일에 대하여는 유급휴일수당을 지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됨.
- 다만, 예외적으로 무단 결근기간이 상당기간 지속되는 등 더 이상 해당 근로자의 근로제공을 기대하기 어려워 평상적인 근로관계가단절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한 경우에는 무급처리하는 것도 가능할것임.


【중앙부처 1차 해석에 대한 안내】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법제처에서 판단한 것이 아니라,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공공데이터로 수집하여 개방한 자료입니다.
해당 법령해석은 당시 법령 등의 기준에 따른 내용이며 현재 폐지·변경된 해석도 포함되어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고,
해석에 대한 효력은 소관 부처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