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를 관리업체 근로자의 사용자로 볼 수 있는지
【질의요지】
입주자대표회의에서 아파트의 관리를 주택관리업체에 위탁하였는데,관리 업체 근로자에 대한 채용ㆍ해임ㆍ승진ㆍ배치전환ㆍ징계 등 인사에 대해서는 관리 업체에서 지시하거나 최종적으로 결재하지만,
- 입주자대표회의에서 근로자에 대한 임금ㆍ퇴직금 등의 지급ㆍ결정에 있어서 최종 결재권을 행사하고, 관리업무 전반에 사실상 집행권을 행사하는 경우 사용자를 누구로 보아야 하는지
【회답】
통상 「근로기준법」상 사용자는 근로자를 사용종속관계 아래에 두어 근로를 제공받고 그 대가로 임금을 지급받는 내용의 근로계약을체결한 자를 의미 하며, 사용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계약의 형식등에 관계없이 실질적인 근로 관계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대법원 2006.12.7. 선고 2004다 29736 판결 참조),
- 위탁관리 형식을 취하고 있다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입주자대표회의가 근로자 들에게 임금을 지급하고 관리업무 전반에 대하여 사실상 집행권을 행사함으로써 위탁업체와의 근로계약은 형식적ㆍ명목적인 것에 불과하다면 「근로기준법」상 사용자는 입주자대표회의라고 볼 여지가 있을 것이나(대법원 1999.11.12. 선고 97누19946판결 참조),
- 입주자대표회의가 아파트관리업체와 체결한 위수탁관리계약상의지위에 기한 감독권의 범위를 넘어 일부 직원의 채용과 승진에 관여하거나 관리사무소 업무의 수행상태를 감독하기도 하고, 또 관리사무소 직원들의 근로조건인 임금, 복지비 등의 지급수준을 독자적으로 결정하여 오기는 하였으나, 관리업체 혹은 그를 대리한 관리사무소장이 근로계약 당사자로서 갖는 관리사무소 직원들에 대한 임면, 징계, 배치 등 인사권과 업무지휘명령권이 모두 배제 내지 형해화 되어 그 직원들과 체결한 근로계약이 형식적인 것에 지나지않는다고 할 수 없고, 또 입주자대표회의가 관리사무소 직원들의업무내용을 정하고 그 업무 수행 과정에 있어 구체적ㆍ개별적인 지휘ㆍ감독을 행하고 있다고 볼 수도 없는 경우, 입주자대표회의가그 관리사무소 직원들과 근로계약관계에 있는 사용자 라고 볼 수없을 것이므로(대법원 1999.7.12. 선고 99마628 판결 참조),
- 귀하의 질의만으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고 위 판례 등을 참고하여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중앙부처 1차 해석에 대한 안내】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법제처에서 판단한 것이 아니라,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공공데이터로 수집하여 개방한 자료입니다.
해당 법령해석은 당시 법령 등의 기준에 따른 내용이며 현재 폐지·변경된 해석도 포함되어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고,
해석에 대한 효력은 소관 부처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