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용노동부 법령해석 정보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화면내검색 공유하기 즐겨찾기 저장 인쇄

「산업안전보건법」 상의 도급 범위에 관한 질의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과-1909, 2020. 4. 28.]
고용노동부(산업안전보건정책과), 044-202-8810
고용노동부 누리집에서 수집한 데이터입니다.

【질의요지】


ㆍB사는 담배제품에 사용되는 판상엽(담배내용물)을 제조ㆍ생산하는 제조업체로서 2004년 A사 자회사로 인수됨
ㆍA사와 B사 상호간에 아래와 같은 계약들을 체결함
- 2018년 12월 경 A사 김천공장 내 건물 일부와 토지를 목적물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여 B사 공장이 A사 부지 내에 상주하게 됨
- 2018년 12월경, B사는 A사와 ‘슬러리 판상엽 제조ㆍ지원 설비 자산 양수도 계약’을 체결하였고, 이로 인해 2018년 12월부터 ‘슬러리 판상엽 제조ㆍ지원 설비’는 B사 소유로서 B사 공장에서 운용함
- 이후 A사와 B사는 ‘슬러리 판상엽 임가공에 관한 구매계약’을 체결하였고, 이때부터 B사 김천공장 출하품은 A사 신탄진 공장으로 납품되고 있음
ㆍAtk 김천공장과 B사 김천공장은 공정이 달라 두 공장 간에 물품(원료 등)의 제공ㆍ납품은 없고, A사 김천공장은 B사 김천공장에게 건물과 부지만을 임대해주고 있으며,
- 공장부지 전체에 대한 경비는 A사 공장에서 맡고 있으나, 그 외에 B사 공장 내 설비의 유지ㆍ보수ㆍ관리 등은 B사에서 맡고 있고 전기, 상하수도세 등 세금도 A사 공장과 별개로 납세하고 있음
- B사 김천공장의 출하품은 A사 신탄진 공장에서 최종 제품으로 완성되고, 제품의 품질ㆍ품량 때문에 A사 신탄진 공장에서 B사 김천공장의 품질ㆍ품량을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있음
- 위와 같은 관계에서 B사 김천공장 내 설비 운용 도중 B사 소속 근로자가 사망하는 중대재해 발생 시, A사 김천공장 측에 도급인으로서 책임이 있는지

【회답】

ㆍ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별도로 선임하고 있음
- B사는 A사와 임대차 계약 및 재료품 구매계약서를 체결하고 김천공장 내에서 슬러리판상엽을 생산ㆍ납품하는 것으로 A사는 도급인, B사는 수급인에 해당됨
- A사 김천공장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A사 대표이사의 안전보건 관련 업무를 위임받아 김천공장을 실질적으로 총괄관리하고 있는 자로서, A사 김천공장 내 B사에 대한 도급인의 책임까지 위임받은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함


【중앙부처 1차 해석에 대한 안내】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법제처에서 판단한 것이 아니라,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공공데이터로 수집하여 개방한 자료입니다.
해당 법령해석은 당시 법령 등의 기준에 따른 내용이며 현재 폐지·변경된 해석도 포함되어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고,
해석에 대한 효력은 소관 부처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