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제한구역 내 수목장림을 설치하는 경우 배치계획의 세부기준과 의견청취 범위
【질의요지】
ㅇ (질의 1) 수목장림 배치계획 수립시기가 행위허가 신청 전후 중 어느 쪽인지 및 배치계획의 세부내용은 무엇인지?
ㅇ (질의 2) 수목장림 배치계획 수립 시 의견청취 대상 주민의 범위가 시군구 단위인지 읍면 단위인지?
【회답】
ㅇ 개발제한구역법령은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 방지 및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 확보를 목적으로, 구역 내 건축물의 건축 및 용도변경, 공작물의 설치, 토지 형질변경 등의 행위를 원칙적으로 금지하되, 일정 요건과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예외적제한적으로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의 허가 등을 받아 그러한 행위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ㅇ (회신 1) 수목장림은「개발제한구역법 시행령」별표1 제1호거목나)에서 해당 시장군수구청장이 설치하려는 지역 주민의 의견을 청취하여 수립하는 배치계획에 따를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지역주민 의견을 청취하여 배치계획을 수립한 후 이를 기준으로 행위허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됩니다.
- 한편, 개발제한구역법령에서는 수목장림 배치계획의 세부내용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배치계획은 개발제한구역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설치 범위 및 장사법령 등 관련 법령에 적합하게 수립되어야 합니다.
ㅇ (회신 2) 수목장림 배치계획 수립 및 의견청취 주체를 해당 시장군수구청장으로 규정하면서 의견청취 대상인 지역 주민의 범위를 별도의 행정구역 단위로 한정하고 있지 않은 점, 수립된 배치계획이 읍면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닌 점 등을 고려하였을 때 의견청취 대상인 지역 주민의 범위는 해당 시군구로 보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끝.
【관련법령】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2조 (개발제한구역에서의 행위제한)
【중앙부처 1차 해석에 대한 안내】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법제처에서 판단한 것이 아니라,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공공데이터로 수집하여 개방한 자료입니다.
해당 법령해석은 당시 법령 등의 기준에 따른 내용이며 현재 폐지·변경된 해석도 포함되어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고,
해석에 대한 효력은 소관 부처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