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용도구역이 무엇이며, 용도구역내에서 지정된 해역만 이용가능한지 문의
【질의요지】
해양용도구역이란 무엇이며, 용도구역내에서는 지정된 해양이용만 가능한지?
【회답】
ㅇ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19.4)에 따라 무분별한 선점식 이용에서 해양공간의 특성과 생태계의 가치를 고려한 '先계획 後이용' 체제의 해양공간 통합관리가 도입됨
ㅇ 해양공간계획은 해양의 용도와 관리방향을 사전에 정하여 해양공간의 이용ㆍ개발ㆍ보전활동을 합리적으로 배분하고 지속 관리하는 계획이며, 이를 위해 해양공간특성평가 결과를 토대로 법적ㆍ제도적 기준, 해양이용ㆍ개발ㆍ보전현황 등을 고려하여 9개의 해양용도구역* 지정ㆍ관리하고 있음
* 어업활동보호, 골재ㆍ광물자원개발, 에너지개발, 해양관광, 환경ㆍ생태계관리, 연구ㆍ교육보전, 항만ㆍ항행, 군사활동, 안전관리
ㅇ 해양수산부에서는 해양공간 이용ㆍ개발계획 등을 대상으로 해양공간계획과의 부합여부 등을 사전 검토(해양공간적합성협의)하며, 「해양공간계획법」에서는 해양용도구역에서의 행위제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항만구역, 국립공원, 군사훈련구역 등 법ㆍ제도적으로 지정된 지구ㆍ구역이 용도구역으로 반영된 경우, 해당 법ㆍ제도에서 정한 행위제한이 적용됨
- 즉, 해양용도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개별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해당 용도의 활동을 저해하지 않으며, 상충성이 낮은 양립 가능한 활동들은 모두 가능함
【관련법령】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2조(해양용도구역의 지정 등)
【중앙부처 1차 해석에 대한 안내】
중앙부처 1차 해석은 법제처에서 판단한 것이 아니라, 부처에서 해석한 내용을 공공데이터로 수집하여 개방한 자료입니다.
해당 법령해석은 당시 법령 등의 기준에 따른 내용이며 현재 폐지·변경된 해석도 포함되어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고,
해석에 대한 효력은 소관 부처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