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공포법령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최근공포법령 상세화면
법령명 선박에서의 오염방지에 관한 규칙 한글파일 다운로드 이전법령보기 공포법령보기 인쇄
입안유형 일부개정 법령종류 해양수산부령 공포번호 제00326호 공포일자 2019. 2. 13.
시행일자 2019. 2. 13. 소관부처 해양수산부 담당부서 해사산업기술과 전화번호 044-200-5834, 5835
개정문
						⊙해양수산부령 제326호
선박에서의 오염방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을 다음과 같이 공포한다.
2019년 2월 13일
해양수산부장관 (인)

선박에서의 오염방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

선박에서의 오염방지에 관한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2조의2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12조의2(극지해역에서 선박으로부터의 폐기물 등의 배출) 해양수산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극지(極地)해역에서 선박으로부터 폐기물, 기름 또는 유해액체물질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제8조부터 제12조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해양수산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 및 방법에 적합하게 배출해야 한다.

제13조의2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13조의2(폐기물의 배출률 승인) ① 법 제22조의2제1항에 따라 배출률[선박의 흘수(吃水) 및 속력에 따른 시간당 폐기물 배출량을 말한다. 이하 같다]을 승인받아야 하는 폐기물은 제14조제2항제1호다목에 따른 분뇨저장탱크를 설치한 선박에서 발생하는 마쇄하지 않았거나 소독하지 않은 분뇨로 한다.
② 법 제22조의2제1항에서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해역"이란 제8조제1호 및 별표 2에 따라 마쇄하지 않았거나 소독하지 않은 분뇨를 배출할 수 있는 해역을 말한다.
③ 법 제22조의2제1항에 따라 배출률의 승인을 신청하려는 자는 별지 제1호서식의 배출률 표를 작성하여 지방해양수산청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④ 제3항에 따라 승인 신청을 받은 지방해양수산청장은 해당 선박의 배출률이 다음의 계산식에 따라 산정한 최대허용 배출률 이내인 경우에는 해당 선박의 배출률 표에 별표 5의2에 따른 배출률 승인 표시를 하여 신청인에게 내주어야 한다.

┌──────────────────────────────────────────────┐
│최대허용 배출률(㎥/h) = 0.00926 × 선박의 평균속력(knot) × 선박의 흘수(m) × 선박의 너비(m)│
└──────────────────────────────────────────────┘



제30조의2제1항에 단서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다만, 국제항해에 종사하지 않는 선박으로서 외국에 선박을 매각하거나 외국에서 수리·폐선 등을 하기 위해 예외적으로 국제항해에 사용되는 선박은 제외한다.

제30조의2제2항제3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3. 선박의 지정된 건현(乾舷)이 증가되는 경우. 다만, 입항하려는 항만의 수심이나 재화중량톤수의 제한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선박의 지정된 건현이 증가되는 경우는 제외한다.

제30조의4제1항을 다음과 같이 한다.
① 법 제41조의3제1항에서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선박"이란 제48조제2항제5호에 따른 국제대기오염방지증서를 발급받은 선박을 말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선박은 제외한다.
1. 시추선 및 플랫폼
2. 추진기관이 없는 선박
3. 국제항해에 종사하지 않는 선박으로서 외국에 선박을 매각하거나 외국에서 수리·폐선 등을 하기 위해 예외적으로 국제항해에 사용되는 선박

제34조제2항 중 "43.3[43.3 SO2(ppm)/CO2(%, v/v)"을 "4.3[4.3 SO2(ppm)/CO2(%, v/v)"으로 한다.

제39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정기검사"를 "정기검사(이하 "정기검사"라 한다)"로 하고, 같은 조 제1항제1호 각 목 외의 부분 중 "다목까지 및 자목의 서류에 한한다"을 "다목까지, 자목 및 차목의 서류에 한정한다"로 하며, 같은 호 다목을 다음과 같이 한다.
다. 해양오염방지설비등의 검정합격증명서, 기관대기오염방지증서 및 황산화물 배출적합증서의 원본 또는 사본(해당되는 선박에 한정한다)

제39조제1항제1호자목 중 "질소산화물배출관련"을 "질소산화물배출 관련"으로 하고, 같은 호에 차목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차. 법 제44조제2항 단서에 따른 해양수산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배기가스정화장치(이하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라 한다)의 기술 매뉴얼(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의 증명서, 형식 및 운전 특성 등을 기재한 서류를 말한다. 이하 같다) 및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 기록부(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의 작동 상태 및 유지보수 이력을 기록한 서류를 말한다. 이하 같다)(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가 설치된 경우로 한정한다)

제40조제1항제2호 중 "다목까지 및 자목"을 "다목까지, 자목 및 차목"으로 한다.

제41조제2항제2호 중 "다목까지 및 자목"을 "다목까지, 자목 및 차목"으로 한다.

제46조제1항을 다음과 같이 한다.
① 법 제54조제1항에서 "해양수산부령이 정하는 대기오염방지설비"란 다음 각 호를 말한다.
1. 법 제43조제1항 본문에 따른 질소산화물의 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한 디젤기관(이하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이라 한다)
2.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

제46조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 검사신청서"를 "예비검사신청서"로, "서류"를 "구분에 따른 서류"로 하고, 같은 항 각 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1.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의 경우
가.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의 명세서
나.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의 구조 도면
다. 표본기관(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의 표본이 되는 기관을 말한다)이 적용되는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의 범위 및 선정기준
라. 질소산화물배출 관련 기록부
2.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의 경우
가.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의 명세서
나.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의 구조 도면
다.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의 작동설명서, 기술 매뉴얼 및 선상 모니터링 매뉴얼(배기가스의 황산화물 배출수치 감지기의 설치 위치, 보수 및 보정 방법 등을 기재한 서류를 말한다)
라. 황산화물 배출 적합 계획서(연료유 연소장치의 목록과 배출기준에 적합하게 해당 장치가 운전됨을 기재한 서류를 말한다)
마.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 기록부

제46조제3항 중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의 검사신청"을 "검사신청"으로, "별표 20 제1호"를 "별표 20 제1호 또는 제3호"로 하고, 같은 조 제4항을 다음과 같이 한다.
④ 법 제54조제2항에서 "해양수산부령이 정하는 예비검사증서"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증서를 말한다.
1.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의 경우: 별지 제21호서식의 기관대기오염방지증서
2.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의 경우: 별지 제21호의2서식의 황산화물 배출적합증서

제46조제6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각 호와"를 "각 호의 구분과"로 하고, 같은 항 각 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1.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의 경우
가. 제2항제1호에 따른 서류의 사전 검토 및 승인
나. 별표 20 제1호의 기술기준에 따른 시험
2.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의 경우
가. 제2항제2호에 따른 서류의 사전 검토 및 승인
나. 별표 20 제3호의 기술기준에 따른 시험

제46조제7항 전단 중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이"를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 또는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가"로, "제6항제2호"를 "제6항제1호나목 또는 같은 항 제2호나목"으로 하고, 같은 항 후단 중 "제6항제2호"를 "제6항제1호나목 또는 같은 항 제2호나목"으로, "외국정부가 승인 및 발급한 질소산화물배출 관련 기록부 및 검사증서"를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서류"로 하며, 같은 항에 각 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1.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의 경우: 외국정부가 승인 및 발급한 질소산화물배출 관련 기록부 및 검사증서
2.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의 경우: 외국정부가 승인 및 발급한 황산화물 배출적합증서

제46조의2제2항 중 "별지 제21호의2서식"을 "별지 제21호의3서식"으로 하고, 같은 조 제4항 중 "별지 제21호의3서식"을 "별지 제21호의4서식"으로 한다.

제68조제1항제1호를 제1호의2로 하고, 같은 항에 제1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하며, 같은 항 제5호 중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의 예비검사"를 "예비검사"로 하고, 같은 항 제7호를 삭제한다.
1. 법 제22조의2에 따른 폐기물의 배출률 승인

별표 2 제2호나목 중 "「수산업법」 제65조"를 "「수산자원관리법」제46조"로, "같은 법 제68조제1항에 따른 육성수면"을 "같은 법 제48조에 따른 수산자원관리수면"으로 하고, 같은 표 제3호나목 중 "「수산업법」 제65조"를 「수산자원관리법」제46조"로, "같은 법 제68조제1항에 따른 육성수면"을 "같은 법 제48조에 따른 수산자원관리수면"으로 하며, 같은 호 라목 중 "「항만법」 제2조"를 "「항만법」 제2조제4호"로 한다.

별표 3 제3호 중 "특별해역"을 "국제특별해역"으로 한다.

별표 5 제8호라목3)가)부터 라)까지 외의 부분 중 "스트리핑 요건"을 "제4호의 적용"으로 한다.

별표 5의2를 별지와 같이 신설한다.

별표 7 제2호 비고 외의 부분을 다음과 같이 한다.
2. 화물구역에서의 기름오염방지설비의 설치기준

┌──┬────────────────────┬──────────────────────┐
│구분│대상선박 │기름오염방지설비 │
├──┼──┬─────────────────┼──────────────────────┤
│가. │ 1) │가) 근해구역 이상의 항해에만 종 │(1) 평형수용 기름배출감시제어장치 │
│ │ │사하는 유조선 │(2) 평형수배출관장치 │
│유 │총 │ │(3) 혼합물탱크장치 │
│성 │톤 ├─────────────────┼──────────────────────┤
│평 │수 │나) 국내항해에만 종사하는 유조선 │(1) 평형수용 기름배출감시제어장치 │
│형 │ ├─────────────────┤(2) 평형수배출관장치 │
│수 │150 │다) 국제협약의 한 당사국 안에서 │(3) 혼합물탱크장치 │
│의 │톤 │만 종사하는 유조선 │(4) (1) 및 (3)에도 불구하고 화물구역에서 발 │
│ │이 ├─────────────────┤생하는 유성혼합물을 항해 중 바다에 배출하 │
│배 │상 │라) 아스팔트 또는 물과의 분리가 │지 않고 선박에 저장하였다가 육상수용시설 │
│출 │의 │불가능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에 전량 배출하는 경우에는 평형수배출관장 │
│방 │ │정제유를 운송하는 유조선 │치만 설치할 수 있다. │
│지 │유 ├─────────────────┼──────────────────────┤
│설 │조 │마) 국제항해를 포함하는 연해구역 │(1) 평형수용 기름배출감시제어장치 │
│비 │선 │안에서만 종사하는 유조선 │(2) 평형수배출관장치 │
│ │ ├─────────────────┤(3) 혼합물탱크장치 │
│ │ │바) 육지로부터 50해리를 넘지 않 │(4) (1)에도 불구하고 화물구역에서 발생하는 │
│ │ │고, 총 항해시간이 72시간 이내 │유성혼합물을 항해 중 바다에 배출하지 않고 │
│ │ │로 제한된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에 저장하였다가 육상수용시설에 전량 │
│ │ │유조선 │배출하는 경우에는 평형수배출관장치 및 혼 │
│ │ │ │합물탱크장치만 설치할 수 있다. │
│ ├──┴─────────────────┼──────────────────────┤
│ │2) 합계용적 200㎥ 이상의 기름을 실을 │가) 평형수용 기름배출감시제어장치 │
│ │수 있는 화물창을 가진 선박 │나) 평형수배출관장치 │
│ │ │다) 혼합물탱크장치 │
│ │ │라) 가) 및 다)에도 불구하고 화물창의 합계용 │
│ │ │적이 1천㎥ 미만인 경우로서 화물창에서 발 │
│ │ │생하는 유성혼합물을 항해 중 바다에 배출하 │
│ │ │지 않고 선박에 저장하였다가 육상수용시설 │
│ │ │에 전량 배출하는 경우에는 평형수배출관장 │
│ │ │치만 설치할 수 있다. │
├──┼────────────────────┼──────────────────────┤
│ │1) 1982년 6월 1일 후에 인도된 유조선 │가) 분리평형수탱크 │
│나. │으로서 원유만을 운송하는 재화중량톤 │나) 화물창원유세정설비 │
│ │수 2만톤 이상의 유조선 │다) 나)에도 불구하고 원유 세정에 적합하지 │
│평 ├────────────────────┤않은 원유만을 운송하거나 정제유와 함께 원 │
│형 │2) 1982년 6월 1일 후에 인도된 유조선 │유를 운송하는 유조선이 화물구역에서 발생 │
│수 │으로서 원유 및 정제유를 운송하는 재 │하는 유성혼합물을 항해 중 바다에 배출하지 │
│탱 │화중량톤수 2만톤 이상의 유조선 │않고 선박에 저장하였다가 육상수용시설에 │
│크 │ │전량 배출하는 경우에는 분리평형수탱크만 │
│ │ │설치할 수 있다. │
│및 ├────────────────────┼──────────────────────┤
│ │3) 1982년 6월 1일 후에 인도된 유조선 │분리평형수탱크 │
│화 │으로서 정제유만을 운송하는 재화중량 │ │
│물 │톤수 3만톤 이상의 유조선 │ │
│탱 ├────────────────────┼──────────────────────┤
│크 │4) 1982년 6월 1일 이전에 인도된 유조 │화물창원유세정설비 또는 분리평형수탱크 │
│의 │선으로서 원유만을 운송하는 재화중량 │ │
│ │톤수 4만톤 이상의 유조선 │ │
│세 ├────────────────────┼──────────────────────┤
│정 │5) 1982년 6월 1일 이전에 인도된 유조 │가) 맑은평형수탱크 │
│설 │선으로서 정제유만을 운송하는 재화중 │나) 평형수농도감시장치 │
│비 │량톤수 4만톤 이상의 유조선 │다) 가) 및 나)에도 불구하고 분리평형수탱크 │
│ │ │를 설치한 경우에는 맑은평형수탱크 및 평형 │
│ │ │수농도감시장치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
│ ├────────────────────┼──────────────────────┤
│ │6) 1982년 6월 1일 이전에 인도된 유조 │분리평형수탱크 │
│ │선으로서 원유와 정제유를 운송하는 │ │
│ │재화중량톤수 4만톤 이상의 유조선 │ │
│ ├────────────────────┼──────────────────────┤
│ │7) 1982년 6월 1일 이전에 인도된 유조 │가) 화물창원유세정설비 또는 분리평형수탱크 │
│ │선으로서 국내항해에만 종사하는 재화 │나) 가)에도 불구하고 화물구역에서 발생하는 │
│ │중량톤수 4만톤 이상의 유조선 │유성혼합물을 항해 중 바다에 배출하지 않고 │
│ │ │선박에 저장하였다가 육상수용시설에 전량 │
│ │ │배출하는 경우에는 화물창원유세정설비 또는 │
│ │ │분리평형수탱크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
└──┴────────────────────┴──────────────────────┘



별표 8 제4호다목을 다음과 같이 하고, 같은 호에 라목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다. 유성찌꺼기탱크는 선저폐수계통, 선저폐수저장탱크 또는 유수분리기와 연결되어서는 안 된다. 다만,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1) 수동조작자동폐쇄밸브 또는 이와 같은 수준으로 유성찌꺼기탱크의 침전수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2) 유성찌꺼기 배출관과 선저폐수관이 표준배출연결구로 통하는 공통관에 연결되어 있지만 공통관을 통해 유성찌꺼기를 선저폐수관으로 이송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라. 유성찌꺼기탱크는 표준배출연결구를 제외하고는 선외로 직접 연결되어서는 안 된다.

별표 10 제5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5. 2010년 1월 1일 전에 인도된 재화중량톤수 600톤 미만의 유조선의 선체구조
2010년 1월 1일 전에 인도되어 소형선이중선저구조를 갖추지 않은 유조선은 다음에서 정한 날 전까지 소형선이중선저구조를 갖춰야 한다. 다만, 3)에도 불구하고 해양수산부장관이 정하는 선박의 크기 및 구조 등에 관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소형선이중선저구조를 갖추지 않아도 2022년 1월 1일 이후에 운항할 수 있으나 운항 허용기간은 해당 선박의 인도일부터 30년을 초과할 수 없다.
1) 1969년 12월 31일 이전에 인도된 선박: 2020년 1월 1일
2) 1970년 1월 1일부터 1979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된 선박: 2021년 1월 1일
3) 1980년 1월 1일 이후에 인도된 선박: 2022년 1월 1일

별표 14에 제4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4. 복원성 계산기기
가. 총톤수 150톤 이상의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유조선의 소유자는 법 제112조제1항제3호에 따라 검사업무를 대행하는 기관의 승인을 받은 복원성 계산기기를 해당 유조선에 비치해야 한다.
나. 가목에 따른 복원성 계산기기는 국제해사기구에서 권고하는 성능기준에 적합하고 손상복원성 및 비손상 복원성 검증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다. 가목 및 나목에도 불구하고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복원성 계산기기를 비치하지 않을 수 있다.
1) 「선박안전법」 제28조제2항에 따라 예상 가능한 모든 적재 상태를 포함하여 승인받은 복원성자료가 선장에게 제공된 선박
2) 법 제112조제1항제3호에 따라 검사업무를 대행하는 기관이 승인한 방법에 따라 원격으로 복원성 검증이 가능한 선박
3) 제1호에 따른 복원성기준을 갖추고 「선박안전법」 제28조제2항에 따라 복원성자료를 승인받은 선박으로서, 그 승인한 허용범위 내의 적하상태로 운항하는 선박
4) 제1호에 따른 복원성기준을 갖추고 「선박안전법」 제28조제2항에 따라 복원성자료를 승인받은 선박으로서, 그 손상복원성 및 비손상 복원성을 검증할 수 있는 허용 흘수별 최대허용 수직무게중심(KG)/흘수별 최소 운항 메터센터높이(GM) 곡선 또는 표가 비치된 선박

별표 15 제1호라목 중 "배출장치(제16조제1항에 따른 유해액체물질을 배출하는 선박을 제외한다. 이하 같다)"를 "배출장치"로 하고, 같은 표 제3호 다음에 비고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비고
1. 위 표에도 불구하고 잔류물의 배출방법이 별표 5 제8호나목의 배출해역·예비세정방법 및 배출방법에 따른 수면하 배출방법이 요구되지 않는 선박은 수면하 배출장치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2. 위 표에도 불구하고 화물창에 선박평형수를 적재하지 않고 수리나 입거 시에만 화물창을 세정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와 운항특성을 가지고 지방해양수산청장의 승인을 받은 선박의 유해액체물질오염방지설비는 유해액체물질·선박평형수 등의 배출관장치로만 할 수 있다.
3. 위 표에도 불구하고 국내항해에 종사하고 제12조에 따른 배출방법으로 세정된 선박평형수를 배출하는 선박의 유해액체물질오염방지설비는 통풍세정장치 및 유해액체물질·선박평형수 등의 배출관장치로만 할 수 있다.

별표 20 제3호에 파목 및 하목을 각각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파. 다목에서 바목까지의 부하시험을 하지 않은 장치를 선박에 설치하고 황산화물 배기가스의 계속적인 모니터링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모니터링 장비의 설치검사와 배출시험으로 가목의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것
하. 그 밖에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에 대한 용어의 정의, 장치의 승인범위, 배기가스 측정 절차, 모니터링 장비 및 세정수의 기준 등 국제협약에서 규정하는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별표 20의2 및 별표 20의3을 각각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 20의4 제2호가목1)을 다음과 같이 한다.
1) 선박에 대한 다음의 정보. 다만, 마)부터 자)까지는 총톤수 5천톤 이상의 선박에 한정한다.
가) 선박명
나) 총톤수(Gross Tonnage)
다) 재화중량톤수(DWT)
라) 선박의 종류
마) 선박의 국제해사기구(IMO) 번호
바) 순톤수(Net Tonnage)
사) 주기관 및 보조기관 정격출력
아)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해당하는 경우에 한정한다)
자) 대빙등급(Ice Class: 얼음으로 덮인 해역을 항해할 수 있는 선박임을 나타내는 등급으로서 극지해역 운항선박에 대하여 「선박안전법」 제26조에 따른 선박시설기준에 따라 부여된 등급을 말하며, 해당하는 경우에 한정한다)

별표 20의4 제2호에 파목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파. 총톤수 5천톤 이상의 선박의 경우에는 에너지효율관리계획의 평가와 관련된 다음의 사항을 포함하여 작성해야 한다. 이 경우 다음의 사항에 관한 세부적인 작성방법은 해양수산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1) 선박의 연료 사용량, 운항거리 및 운항시간에 대한 정보 수집 방법에 관한 사항
2) 1)에 따라 수집된 정보의 품질 관리에 관한 사항
3) 선박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직접 측정하려는 경우에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측정방법 및 측정기기의 관리에 관한 사항

별표 29 제5호의 정기검사의 검사 등 준비기준란의 가목1) 및 2) 외의 부분 중 "오존층파물질"을 "오존층파괴물질"로 하고, 같은 란의 다목을 다음과 같이 하며, 같은 란에 바목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다. 연료유
연료유공급서 및 연료유 견본을 준비할 것
바.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설치된 경우에 한정한다)
1) 케미컬저장탱크를 개방할 것
2)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 기술 매뉴얼을 비치할 것
3)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 기록부를 비치할 것

별표 29 제5호의 제1종중간검사의 검사 등 준비기준란의 나목1) 및 2) 외의 부분 중 "오존층파물질"을 "오존층파괴물질"로 하고, 같은 란에 마목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마.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설치된 경우에 한정한다)
1) 케미컬저장탱크를 개방할 것
2)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 기술 매뉴얼을 비치할 것
3)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 기록부를 비치할 것

별표 35 제5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5.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 및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의 예비검사
가.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 (단위: 원/1대)

┌──────────┬───────────────┬──────────────────┐
│출력(PS)(㎾) │NOx 실측을 하는 경우(표본기관)│NOx 실측을 하지 않는 경우(소속기관) │
├──────────┼───────────────┼──────────────────┤
│ 500PS(367㎾) 이하 │3만6천 │1만 │
├──────────┼───────────────┼──────────────────┤
│ 1,000PS(735㎾) 이하│3만6천 │2만1천 │
├──────────┼───────────────┼──────────────────┤
│ 1,000PS(735㎾) 초과│3만6천 │3만6천 │
└──────────┴───────────────┴──────────────────┘


나.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 (단위: 원/1대)

┌─────────┬─────────────────────┐
│단일 제작품인 경우│동일 배기가스 유량을 가진 연속 생산품으로 │
│ │인정 받은 경우 │
├─────────┼─────────────────────┤
│3만6천 │2만3천4백 │
└─────────┴─────────────────────┘


비고
가. 기관대기오염방지증서 및 황산화물 배출적합증서 발급수수료는 검사수수료와 별도로 3천원을 납부해야 한다.
나. 질소산화물배출방지기관은 동일 기관 측정 시 1주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가 주기 당 해당 표본기관 수수료의 20퍼센트를 가산한다.

별표 35 제6호 비고의 나목을 다음과 같이 한다.
나. 임시방오시스템검사의 출입검사 수수료 총액은 방오시스템검사 수수료보다 많아서는 안 된다.

별표 35 제8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8. 법 제22조의2에 따른 폐기물 배출률 승인: 3천원

별지 제1호서식을 별지 제1호의2서식으로 한다.

별지 제1호서식을 별지와 같이 신설한다.

별지 제2호서식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지 제8호서식 뒤쪽 중 "임검"을 각각 "출입검사"로 한다.

별지 제16호서식 뒤쪽 중 "선박임검"을 "선박출입검사"로 한다.

별지 제18호서식 뒤쪽 중 "임검"을 각각 "출입검사"로 한다.

별지 제20호서식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지 제21호의2서식 및 별지 제21호의3서식을 각각 별지 제21호의3서식 및 별지 제21호의4서식으로 하고, 별지 제21호의2서식을 별지와 같이 신설한다.

별지 제21호의3서식(종전의 별지 제21호의2서식)의 처리절차란 중 "선박임검"을 각각 "선박출입검사"로 한다.

별지 제22호서식, 별지 제24호서식, 별지 제25호서식 및 별지 제29호서식 을 각각 별지와 같이 한다.

별지 제31호서식 뒤쪽 중 "선박임검"을 "선박출입검사"로 한다.

부칙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유성찌꺼기탱크 기술기준에 관한 적용례) ①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으로서 2017년 1월 1일 전에 건조된 선박의 경우에는 별표 8 제4호의 개정규정은 이 규칙 시행 이후 정기검사를 신청하는 경우부터 적용한다.
② 국제항해에 종사하지 않는 선박의 경우에는 별표 8 제4호의 개정규정은 2020년 1월 1일 이후 정기검사를 신청하는 경우부터 적용한다.
제3조(복원성 계산기기의 비치에 관한 적용례) 2016년 1월 1일 전에 건조된 선박의 경우에는 이 규칙 시행 이후 정기검사를 신청하는 날 또는 2021년 1월 1일 중 먼저 도래하는 날부터 별표 14 제4호의 개정규정을 적용한다.
제4조(소형선이중선저구조 기준에 관한 특례) 별표 10 제5호의 개정규정에 따라 소형선이중선저구조를 갖춰야 하는 유조선으로서 이 규칙 시행 당시 소형선이중선저구조를 갖춘 유조선의 경우에는 별표 13 제4호에도 불구하고 같은 표 제1호가목2)에 따른 화물창바닥과 선저외판에서 수직으로 측정한 선저외판의 형선간의 거리의 최소값은 0.60미터 이상으로 한다.
제5조(폐기물 배출률 승인에 관한 경과조치) 이 규칙 시행 전에 국제협약에 따라 폐기물의 배출률 승인을 받은 자는 제13조의2의 개정규정에 따라 폐기물의 배출률 승인을 받은 것으로 본다.


[별표 5의2]

배출률 승인 표시(제13조의2제4항 관련)



┏━━┓─┬──
┃KG ┃ │
┃ ┃
┃ ┃ 4밀리미터 이상
┃ ┃
┃ ┃ │
┗━━┛─┴──


│ │
├──┤
│ │

6밀리미터 이상


※ 비고: 선박안전기술공단이나 선급법인이 법 제112조제1항제1호에 따라
배출률의 승인업무를 대행하는 경우에는 위 "KG" 표시를 해당
검사대행기관의 인장 또는 영문약어로 대체한다.



[별표 20의2]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 계산 대상선박(제30조의2제1항 관련)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 계산 대상선박은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제1호부터 제11
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선박으로서 비전통추진방식을 가진 선박과 500킬로
파스칼(kPa) 이상의 빙굽힘강도를 갖는 얼음이 1.0미터 이상 두께로 덮인 해역에서
2노트 이상의 속력으로 자력 항해가 가능한 쇄빙능력을 갖도록 설계된 화물선은 대
상에서 제외한다.
1. 산적화물선(散積貨物船)
2. 가스운반선
3. 유조선등
4. 컨테이너선
5. 일반화물선[가축운반선(livestock carrier), 부선(barge carrier), 반잠수
중화물 운반선(heavy load carrier), 요트운반선(yacht carrier),
핵연료운반선(nuclear carrier)은 제외한다]
6. 냉동화물운반선
7. 겸용선
8. 여객선
9. 로로화물선(차량운반선)
10. 로로화물선[로로화물수송유니트(roll-on-roll-off cargo transportation
units)운반선]
11. 로로여객선
12.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13. 크루즈여객선

※ 비고
위 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산적화물선(散積貨物船)"이란 「해상에서의 인명안전을 위한
국제협약」(SOLAS) 제12장제1규칙에 따른 선박으로서 광석운반선을 포함하여
주로 산적상태의 건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을 말한다. 다만, 겸용선은 제외한다.
2. "가스운반선"이란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외에 액화가스를 산적상태로
운송하는 데 사용하도록 건조되거나 개조된 화물선을 말한다.
3. "유조선등"이란 유조선, 국제협약 부속서 제2장제1규칙에 따른
위험화학품산적운송선(chemical tanker) 및 유해액체물질산적운반선(NLS
tanker)을 말한다.
4. "컨테이너선"이란 화물창과 갑판에 컨테이너를 운송하도록 설계된 선박을
말한다.
5. "일반화물선"이란 다중갑판 또는 단일갑판 선체구조를 가진 선박으로서 주로
일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선박을 말한다.
6. "냉동화물운반선"이란 화물창 내에 냉장화물을 운송하도록 설계된 선박을
말한다.
7. "여객선"이란 13명 이상의 여객을 운송할 수 있는 선박을 말한다.
8. "로로화물선(차량운반선)"이란 비어 있는 자동차 및 트럭을 운송하도록 설계된
다중갑판 구조를 가진 선박을 말한다.
9. "로로화물선[로로화물수송유니트(roll-on-roll-off cargo transportation
units)운반선]"이란 로로화물수송유니트를 운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선박을
말한다.
10. "로로여객선"이란 로로화물구역을 가진 여객선을 말한다.
11.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이란 액화천연가스를 산적상태로 운송하는 데
사용하도록 건조되거나 개조된 화물선을 말한다.
12. "크루즈여객선"이란 화물갑판을 가지지 않는 여객선으로 여객의 숙박 및
운송을 위해 설계된 선박을 말한다.
13. "비전통추진방식"이란 왕복내연기관으로 작동되며 직접 또는 기어 박스를
통해 추진축에 결합하여 추진하는 전통추진방식 외에 디젤 및 전기 추진방식,
터빈 추진방식 및 하이브리드 추진방식을 말한다.


[별표 20의3]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 허용값 적용대상 선박 및 허용값(제30조의3 관련)

1.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 허용값 적용대상 선박
가. 재화중량톤수 1만톤 이상 산적화물선
나. 재화중량톤수 2천톤 이상 가스운반선
다. 재화중량톤수 4천톤 이상 유조선등(별표 20의2 제3호에 따른 유조선등을
말한다. 이하 이 별표에서 같다)
라. 재화중량톤수 1만톤 이상 컨테이너선
마. 재화중량톤수 3천톤 이상 일반화물선
바. 재화중량톤수 3천톤 이상 냉동화물운반선
사. 재화중량톤수 4천톤 이상 겸용선
아. 재화중량톤수 1만톤 이상 로로화물선(차량운반선)
자. 재화중량톤수 1천톤 이상 로로화물선[로로화물수송유니트(roll-on-roll-off cargo
transportation units)운반선]
차. 재화중량톤수 250톤 이상 로로여객선
카. 재화중량톤수 1만톤 이상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타. 국제총톤수 2만5천톤 이상 비전통추진방식(왕복내연기관으로 작동되며 직접
또는 기어 박스를 통해 추진축에 결합하여 추진하는 전통추진방식 외에 디젤
및 전기 추진방식, 터빈 추진방식 및 하이브리드 추진방식을 말한다. 이하 이
별표에서 같다)을 가진 크루즈여객선
2.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 허용값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 허용값은 다음 계산식에 따른다. 이 경우 하나의 선박이
2가지 이상의 선박의 종류에 해당될 경우에는 그 중 가장 낮은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 허용값을 해당 선박의 허용값으로 한다.


※ 비고
┌───────┬───────┬────────────────┐1. 이 별표 제2호의 계산식에서 "감축계수"는 다음 표에 따른다.
│선박 종류 │톤수 │감축계수 │
│ │ ├────┬───┬───┬───┤
│ │ │0단계 │1단계 │2단계 │3단계 │
├───────┼───────┼────┼───┼───┼───┤
│산적화물선 │2만톤 초과 │0 │10 │20 │30 │
│ │(재화중량톤수)│ │ │ │ │
│ ├───────┼────┼───┼───┼───┤
│ │1만톤 이상 │적용제외│0~10 │0~20 │0~30 │
│ │2만톤 이하 │ │ │ │ │
│ │(재화중량톤수)│ │ │ │ │
├───────┼───────┼────┼───┼───┼───┤
│가스운반선 │1만톤 초과 │0 │10 │20 │30 │
│ │(재화중량톤수)│ │ │ │ │
│ ├───────┼────┼───┼───┼───┤
│ │2천톤 이상 │적용제외│0~10 │0~20 │0~30 │
│ │1만톤 이하 │ │ │ │ │
│ │(재화중량톤수)│ │ │ │ │
├───────┼───────┼────┼───┼───┼───┤
│유조선등 │2만톤 초과 │0 │10 │20 │30 │
│ │(재화중량톤수)│ │ │ │ │
│ ├───────┼────┼───┼───┼───┤
│ │4천톤 이상 │적용제외│0~10 │0~20 │0~30 │
│ │2만톤 이하 │ │ │ │ │
│ │(재화중량톤수)│ │ │ │ │
├───────┼───────┼────┼───┼───┼───┤
│컨테이너선 │1만5천톤 초과 │0 │10 │20 │30 │
│ │(재화중량톤수)│ │ │ │ │
│ ├───────┼────┼───┼───┼───┤
│ │1만톤 이상 │적용제외│0~10 │0~20 │0~30 │
│ │1만5천톤 이하 │ │ │ │ │
│ │(재화중량톤수)│ │ │ │ │
├───────┼───────┼────┼───┼───┼───┤
│일반화물선 │1만5천톤 초과 │0 │10 │15 │30 │
│ │(재화중량톤수)│ │ │ │ │
│ ├───────┼────┼───┼───┼───┤
│ │3천톤 이상 │적용제외│0~10 │0~15 │0~30 │
│ │1만5천톤 이하 │ │ │ │ │
│ │(재화중량톤수)│ │ │ │ │
├───────┼───────┼────┼───┼───┼───┤
│냉동화물 │5천톤 초과 │0 │10 │15 │30 │
│운반선 │(재화중량톤수)│ │ │ │ │
│ ├───────┼────┼───┼───┼───┤
│ │3천톤 이상 │적용제외│0~10 │0~15 │0~30 │
│ │5천톤 이하 │ │ │ │ │
│ │(재화중량톤수)│ │ │ │ │
├───────┼───────┼────┼───┼───┼───┤
│겸용선 │2만톤 초과 │0 │10 │20 │30 │
│ │(재화중량톤수)│ │ │ │ │
│ ├───────┼────┼───┼───┼───┤
│ │4천톤 이상 │적용제외│0~10 │0~20 │0~30 │
│ │2만톤 이하 │ │ │ │ │
│ │(재화중량톤수)│ │ │ │ │
├───────┼───────┼────┼───┼───┼───┤
│로로화물선 │1만톤 이상 │적용제외│5 │15 │30 │
│(차량운반선) │(재화중량톤수)│ │ │ │ │
├───────┼───────┼────┼───┼───┼───┤
│로로화물선 │2천톤 이상 │적용제외│5 │20 │30 │
│(로로화물수송 │(재화중량톤수)│ │ │ │ │
│유니트운반선) ├───────┼────┼───┼───┼───┤
│ │1천톤 이상 │적용제외│0~5 │0~20 │0~30 │
│ │2천톤 미만 │ │ │ │ │
│ │(재화중량톤수)│ │ │ │ │
├───────┼───────┼────┼───┼───┼───┤
│로로여객선 │1천톤 이상 │적용제외│5 │20 │30 │
│ │(재화중량톤수)│ │ │ │ │
│ ├───────┼────┼───┼───┼───┤
│ │250톤 이상 │적용제외│0~5 │0~20 │0~30 │
│ │1천톤 미만 │ │ │ │ │
│ │(재화중량톤수)│ │ │ │ │
├───────┼───────┼────┼───┼───┼───┤
│액화천연가스 │1만톤 이상 │적용제외│10 │20 │30 │
│(LNG)운반선 │(재화중량톤수)│ │ │ │ │
├───────┼───────┼────┼───┼───┼───┤
│비전통추진 │8만5천톤 이상 │적용제외│5 │20 │30 │
│방식을 가진 │(국제총톤수) │ │ │ │ │
│크루즈여객선 ├───────┼────┼───┼───┼───┤
│ │2만5천톤 이상 │적용제외│0~5 │0~20 │0~30 │
│ │8만5천톤 미만 │ │ │ │ │
│ │(국제총톤수) │ │ │ │ │
└───────┴───────┴────┴───┴───┴───┘

2. 제1호에 따른 감축계수는 다음 각 목의 구분과 같이 적용한다.
가. 건조하는 선박에 대한 감축계수
1) 2013년 1월 1일 전에 건조계약이 이루어진 선박(건조계약이 없는 경우에는
2013년 7월 1일 전에 용골이 거치되거나 동등한 건조단계에 착수한 선박)
가) 2015년 7월 1일 전에 인도된 선박: 적용제외
나) 2015년 7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된 선박: 0단계
다) 2019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된 선박: 1단계
라) 2024년 1월 1일부터 2028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된 선박: 2단계
마) 2029년 1월 1일 이후 인도된 선박: 3단계
2) 2013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건조계약이 이루어진
선박(건조계약이 없는 경우에는 2013년 7월 1일부터 2015년 6월 30일까지
용골이 거치되거나 동등한 건조단계에 착수한 선박)
가) 2015년 7월 1일 전에 인도된 선박: 0단계
나) 2015년 7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된 선박: 0단계
다) 2019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된 선박: 1단계
라) 2024년 1월 1일부터 2028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된 선박: 2단계
마) 2029년 1월 1일 이후 인도된 선박: 3단계
3) 2015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건조계약이 이루어진
선박(건조계약이 없는 경우에는 2015년 7월 1일부터 2020년 6월 30일까지
용골이 거치되거나 동등한 건조단계에 착수한 선박)
가) 2015년 7월 1일 전에 인도된 선박: 1단계
나) 2015년 7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된 선박: 1단계
다) 2019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된 선박: 1단계
라) 2024년 1월 1일부터 2028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된 선박: 2단계
마) 2029년 1월 1일 이후 인도된 선박: 3단계
4) 2020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건조계약이 이루어진
선박(건조계약이 없는 경우에는 2020년 7월 1일부터 2025년 6월 30일까지
용골이 거치되거나 동등한 건조단계에 착수한 선박)
가) 2019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된 선박: 2단계
나) 2024년 1월 1일부터 2028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된 선박: 2단계
다) 2029년 1월 1일 이후 인도된 선박: 3단계
5) 2025년 1월 1일 이후에 건조계약이 이루어진 선박(건조계약이 없는
경우에는 2025년 7월 1일 이후에 용골이 거치되거나 동등한 건조단계에
착수한 선박)
가) 2024년 1월 1일부터 2028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된 선박: 3단계
나) 2029년 1월 1일 이후 인도된 선박: 3단계
6) 1)부터 5)까지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이 별표 제1호아목부터 타목까지의
선박 중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선박은 1단계 감축계수를 적용한다.
가) 2015년 9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건조 계약이 이루어진 선박
나) 건조계약이 없는 경우에는 2016년 3월 1일부터 2020년 6월 30일까지
용골이 거치되거나 동등한 건조단계에 착수한 선박
다) 2019년 9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인도되는 선박
나. 법 제41조의2제1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개조를 하는
선박에 대한 감축계수
1) 2013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개조계약이 이루어진
선박(개조계약이 없는 경우에는 개조에 착수한 선박): 0단계
2) 2015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개조계약이 이루어진
선박(개조계약이 없는 경우에는 개조에 착수한 선박): 1단계
3) 2020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개조계약이 이루어진
선박(개조계약이 없는 경우에는 개조에 착수한 선박): 2단계
4) 2025년 1월 1일 이후에 개조계약이 이루어진 선박(개조계약이 없는
경우에는 개조에 착수한 선박): 3단계
다. "적용제외"의 경우에는 해당 단계에서는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 허용값을
적용받지 않는다.
라. 감축계수가 범위로 주어진 경우에는 재화중량톤수에 따라 선형적으로
보간(補間)하여 사용한다.
마. 법 제41조의2제1항제4호에 해당하는 개조를 하려는 선박의 감축계수는 해당
선박이 종전에 적용받았던 단계를 적용한다. 다만, 개조의 범위가 커서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를 재계산할 필요가 있다고 해양수산부장관이 인정하는
경우의 감축계수는 나목을 준용하여 적용한다.
3. 이 별표 제2호의 계산식에서 "기준선 값"은 다음 계산식에 따른다.
기준선 값 = a × b-c
┌──────────┬────────────────┬──────┬───┐ 여기서 a, b, c는 다음 표와 같다.
│선박의 종류 │a │b │c │
├──────────┼────────────────┼──────┼───┤
│산적화물선 │961.79 │재화중량톤수│0.477 │
├──────────┼────────────────┼──────┼───┤
│가스운반선 │1,120.00 │재화중량톤수│0.456 │
├──────────┼────────────────┼──────┼───┤
│유조선등 │1,218.80 │재화중량톤수│0.488 │
├──────────┼────────────────┼──────┼───┤
│컨테이너선 │174.22 │재화중량톤수│0.201 │
├──────────┼────────────────┼──────┼───┤
│일반화물선 │107.48 │재화중량톤수│0.216 │
├──────────┼────────────────┼──────┼───┤
│냉동화물운반선 │227.01 │재화중량톤수│0.244 │
├──────────┼────────────────┼──────┼───┤
│겸용선 │1,219.00 │재화중량톤수│0.488 │
├──────────┼──────┬─────────┼──────┼───┤
│로로화물선 │DWT/GT<0.3 │(DWT/GT)-0.7×780.│재화중량톤수│0.471 │
│(차량운반선) │ │36 │ │ │
│ ├──────┼─────────┤ │ │
│ │DWT/GT≥0.3 │1812.63 │ │ │
├──────────┼──────┴─────────┼──────┼───┤
│로로화물선 │1405.15 │재화중량톤수│0.498 │
│(로로화물수송유니트 │ │ │ │
│운반선) │ │ │ │
├──────────┼────────────────┼──────┼───┤
│로로여객선 │752.16 │재화중량톤수│0.381 │
├──────────┼────────────────┼──────┼───┤
│액화천연가스 │2253.7 │재화중량톤수│0.474 │
│(LNG)운반선 │ │ │ │
├──────────┼────────────────┼──────┼───┤
│비전통추진 방식을 │170.84 │국제총톤수 │0.214 │
│가진 크루즈여객선 │ │ │ │
└──────────┴────────────────┴──────┴───┘





■ 선박에서의 오염방지에 관한 규칙 [별지 제1호서식]

┌─────────────────────────────┐
│ │
│배출률 표 │
│ │
├─────────────────────────────┤
│배출률 │
│DISCHARGE RATE (㎥/h) │
├─────────┬┬┬┬┬┬────────────┬┬┤
│ 선박의 ││││││ │││
│ 속력 ││││││ │││
│ Speed ││││││ │││
│ 선박의 (kt) ││││││ │││
│ 흘수 ││││││ │││
│ Draft ││││││ │││
│ (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0mm×297mm[백상지(80g/㎡)]



■ 선박에서의 오염방지에 관한 규칙 [별지 제2호서식]
(5쪽 중 제1쪽)
┌────────────────────────────────────────────┐
│ │
│폐기물기록부 │
│(RECORD OF GARBAGE DISCHARGES) │
│제 1 부 (Part I) │
│해양오염방지협약 부속서 제5장 제1.2규칙에 정의된 화물잔류물을 제외한 모든 폐기물 │
│[For all garbage other than cargo residues as defined in regulation 1.2(Definitions) │
│of MARPOL ANNEX Ⅴ] │
│ │
│선 명: │
│(Ship's name) │
│ │
│선박번호 또는 호출부호: │
│(Distinctive No. or letters) │
│ │
│국제해사기구(IMO) 번호: │
│(IMO No.) │
│ │
│폐기물의 범주: │
│(Garbage categories) │
│ │
│ A. 플라스틱류 │
│ (Plastics) │
│ B. 음식 쓰레기 │
│ (Food wastes) │
│ C. 생활 쓰레기(예를 들어, 종이제품, 걸레, 유리, 금속, 병, 도자기 등) │
│ [Domestic Wastes(e.g. paper products, rags, glass, metal, bottles, crockery, etc)] │
│ D. 식용유 │
│ (Cooking Oil) │
│ E. 소각재 │
│ (Incinerator ashes) │
│ F. 운항상 쓰레기 │
│ (Operational wastes) │
│ G. 동물 사체 │
│ (Animal Carcasses) │
│ H. 어구 │
│ (Fishing Gear) │
│ I. 전자 폐기물 │
│ (E-Waste) │
│ │
└────────────────────────────────────────────┘
210mm×297mm(백상지 80g/㎡)





(5쪽 중 제2쪽)
┌───────────────────────────────────────────────────────────┐
│ │
│해양오염방지협약 부속서 제5장 제4규칙(특별해역 외에서 폐기물의 배출) 및 제5규칙(고정식 │
│또는 부유식 플랫폼으로부터의 폐기물 배출에 관한 특별요건) 또는 제6규칙(특별해역 내에서 │
│폐기물의 배출) 또는 극지운항선박규칙 II-A편 제5장에 따른 배출 │
│[Discharges under MARPOL Annex V regulations 4(Discharge of garbage outside special │
│areas), 5(Special requirements for discharge of garbage from fixed or floating │
│platforms) or 6(Discharge of garbage within special areas) or chapter 5 of part II-A │
│of the Polar Code] │
├───┬─────────┬─────┬───────────────┬──────┬────────┬───────┤
│일/시 │선박의 │범주 │배출량 │소각량(㎥) │비고:(소각기 │확인/서명 │
│(Date/│위치(위도/경도), │(Category)│(Estimated amount │[Estimated │시작/정지 │(Certification│
│Time) │다른 선박으로 │ │discharged) │amount │시간 및 위치 등 │/Signature) │
│ │배출시 해당 다른 │ ├───────┬───────┤incinerated │일반 │ │
│ │선박의 명칭, │ │해양에 │수용시설 또는 │(㎥)] │참고사항) │ │
│ │육상으로 배출 시 │ │배출(㎥) │다른 선박으로 │ │[Remarks:(e.g. │ │
│ │항구의 위치 │ │[Into sea(㎥)]│배출(㎥) │ │start/stop │ │
│ │[Position of the │ │ │[To reception │ │time and │ │
│ │ship(latitude/ │ │ │facilities or │ │position of │ │
│ │longitude) │ │ │to ship(㎥)] │ │incineration; │ │
│ │or port │ │ │ │ │general │ │
│ │if discharged │ │ │ │ │remarks) │ │
│ │ashore │ │ │ │ │ │ │
│ │or name of ship │ │ │ │ │ │ │
│ │if discharged to │ │ │ │ │ │ │
│ │another shi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쪽 중 제3쪽)
┌─────────────────────────────────────────────────────────┐
│제7규칙에 따른 예외적인 또는 사고에 의한 폐기물의 배출 │
│[Exceptional discharge or loss of garbage under regulation 7(Exceptions)] │
├───┬─────────┬─────┬───────┬─────────────────────┬───────┤
│일/시 │항구 또는 선박의 │범주 │유실량 또는 │배출 또는 유실 사유 및 일반 참고사항 │확인/서명 │
│(Date/│위치 │(Category)│배출량(㎥) │(우발적인 유실을 방지하거나 최소로 하기 │(Certification│
│Time) │(위도/경도 및 │ │[Estimated │위한 합리적인 모든 조치) │/Signature) │
│ │수심) │ │amount lost │[Remarks on the reason for the discharge │ │
│ │[Port or │ │or discharged │or loss and general remarks(e.g. │ │
│ │position of the │ │(㎥)] │reasonable precautions taken to prevent │ │
│ │ship(latitude/ │ │ │or minimize such discharge or accidental │ │
│ │longitude and │ │ │loss and general remarks)] │ │
│ │water depth if │ │ │ │ │
│ │know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선장의 서명: 날짜: │
│(Master's signature) (Date) │
└─────────────────────────────────────────────────────────┘





(5쪽 중 제4쪽)
┌─────────────────────────────────────────┐
│ │
│제 2 부 (Part II) │
│해양오염방지협약 부속서 제5장 제1.2규칙에 정의된 모든 화물잔류물 │
│[For all cargo residues as defined in regulation 1.2(Definitions) of MARPOL ANNEX │
│Ⅴ] │
│ │
│선 명: │
│(Ship's name) │
│ │
│선박번호 또는 호출부호: │
│(Distinctive No. or letters) │
│ │
│국제해사기구(IMO) 번호: │
│(IMO No.) │
│ │
│ │
│폐기물의 범주: │
│(Garbage categories) │
│ │
│ J. 해양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화물잔류물 │
│ [Cargo residues (non-HME)] │
│ K. 해양환경에 유해한 화물잔류물 │
│ [Cargo residues (HME)] │
│ │
│ │
│ │
│ │
└─────────────────────────────────────────┘





(5쪽 중 제5쪽)
┌───────────────────────────────────────────────────┐
│제4규칙(특별해역 외에서 폐기물의 배출) 및 │
│제6규칙(특별해역 내에서 폐기물의 배출)에 따른 배출 │
│[Discharges under regulations 4 (Discharge of garbage outside special areas) and │
│6(Discharge of garbage within special areas)] │
├───┬───────┬─────┬────────────┬────────────┬───────┤
│일/시 │선박위치(위도/│범주 │배출량 │해상에 배출 시 배출 │확인/서명 │
│(Date/│경도) 또는 │(Category)│(Estimated Amount │시작/종료 시점의 │(Certification│
│Time) │육상배출시 │ │discharged) │선박 위치 │/Signature) │
│ │항만 위치) │ ├────┬───────┤(Start and stop │ │
│ │[Position the │ │해상에 │수용시설 또는 │positions of the ship │ │
│ │ship(latitude/│ │배출(㎥)│타 선박으로 │for discharges into the │ │
│ │longitude) or │ │[Into │배출(㎥) │sea) │ │
│ │port if │ │sea(㎥)]│[To reception │ │ │
│ │disposed of │ │ │facilities or │ │ │
│ │ashore)] │ │ │to another │ │ │
│ │ │ │ │shi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선장의 서명: 날짜: │
│(Master's signature) (Date) │
└───────────────────────────────────────────────────┘




■ 선박에서의 오염방지에 관한 규칙 [별지 제20호서식]

예비검사신청서

※ 색상이 어두운 칸은 신청인이 적지 아니하며, [ ]에는 해당되는 곳에 √표를 합니다. (앞쪽)
──────────────┬─────────────┬───────────────────
접수번호 │접수일시 │처리기간 수검요청일 부터
│ │ 25일 이내
──────────────┴─────────────┴───────────────────

────┬───────────────┬───────────────────────────
신청인│성명(법인명) │생년월일
│ │(법인등록번호)
├───────────────┴───────────────────────────
│주소

│(전화번호 )
────┴───────────────────────────────────────────

────────────────────────────────────────────────
질소산화물 배출방지기관 또는 황산화물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내용
───────┬──────┬──┬───┬─────────────┬────────────
품명 │규격 │형식│수량 │제조번호 │비고
───────┼──────┼──┼───┼─────────────┼────────────
│ │ │ │ │
───────┴──────┴──┴───┴─────────────┴────────────

────┬───────────────┬───────────────────────────
요청 │수검 요청일 년 월 일│수검 장소
내역 ├───────────────┴───────────────────────────
│신청 구분 [ ]제조 [ ]개조 [ ]수리·정비 [ ]수입
├───────────────────────────────────────────
│비고
────┴───────────────────────────────────────────
「해양환경관리법」 제54조제1항 및 「선박에서의 오염방지에 관한 규칙」 제46조제2항에 따라 위와 같이
질소산화물 배출방지기관 또는 황산화물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대한 예비검사를 받기 위해 신청합니다.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지방해양수산청장 귀하

선박안전기술공단 이사장

선급법인의 장


━━━━━━━━━━━━━━━━━━━━━━━━━━━━━━━━━━━━━━━━━━━━━━━━

──────┬──────────────────────┬──────────────────
붙임 서류 │뒤쪽 참조 │수수료
│ │(선박안전기술공단
│ │또는 선급법인이
│ │검사를 대행하는 경우에는
│ │해당기관의
│ │수수료 기준에 따름)
──────┴──────────────────────┴──────────────────
210mm×297mm[백상지(80g/㎡)]





(뒤쪽)
━━━━━━━━━━━━━━━━━━━━━━━━━━━━━━━━━━━━━━━━━━━━━━━━━━━━━━━━━━━━━━━

──────┬────────────────────────────────────────────────────────
붙임 서류 │<질소산화물 배출방지기관의 경우>
│ 1. 질소산화물 배출방지기관의 명세서 1부
│ 2. 질소산화물 배출방지기관의 구조 도면 1부
│ 3. 표본기관(질소산화물 배출방지기관의 표본이 되는 기관을 말합니다)이 적용되는 질소산화물 배출방지기관의
│범위 및 선정기준 각 1부
│ 4. 질소산화물 배출관련 기록부 1부
│ 5. 외국정부가 승인 및 발급한 질소산화물 배출관련 기록부 및 검사증서(수입하는 질소산화물
│배출방지기관에 대하여 외국정부가 검사한 경우로서 관련 검사사항을 면제 받으려는 경우만 해당합니다)

│<황산화물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경우>
│ 1. 황산화물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명세서 1부
│ 2. 황산화물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구조 도면 1부
│ 3. 황산화물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작동설명서, 기술 매뉴얼 및 선상 모니터링 매뉴얼(배기가스의 황산화물 수치
│감지기의 설치 위치 및 보수 및 보정 방법 등을 기재한 서류를 말합니다) 각 1부
│ 4. 황산화물 배출 적합 계획서(연료유 연소장치의 목록과 배출기준에 적합하게 해당 장치가 운전됨을 기재한
│서류를 말합니다) 1부
│ 5. 황산화물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기록부 1부
│ 6. 외국정부가 승인 및 발급한 황산화물 배출적합증서(수입하는 황산화물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대하여
│외국정부가 검사한 경우로서 관련 검사사항을 면제 받으려는 경우만 해당합니다)

──────┴────────────────────────────────────────────────────────

━━━━━━━━━━━━━━━━━━━━━━━━━━━━━━━━━━━━━━━━━━━━━━━━━━━━━━━━━━━━━━━
처리절차
───────────────────────────────────────────────────────────────
───────────┬──────────────────────
신 청 인 │처 리 기 관
├──────────────────────
│지방해양수산청, 선박안전기술공단, 선급법인
───────────┼──────────────────────

┌──────┐ │ ┌──────┐
│신청서 작성 │ │ ▶│접 수 │
│ ├──┼─ │ │
│ │ │ │ │
└──────┘ │ └┬─────┘
│ │

│ ▼
│ ┌──────┐
│ │검 토 │
│ └┬─────┘
│ │

│ ▼
│ ┌──────┐
│ │검 사 │
│ └┬─────┘
│ │

│ ▼
│ ┌──────┐
│ │보고서 작성 │
│ │ │
│ └┬─────┘
│ │

│ ▼
┌──────┐ │ ┌──────┐
│증서 발급 │◀ │ │기안 및 결재│
│ │ ─┼──┤ │
│ │ │ │ │
└──────┘ │ └──────┘

───────────┴──────────────────────
210mm×297mm[백상지(80g/㎡)]



■ 선박에서의 오염방지에 관한 규칙 [별지 제21호의2서식]


증서번호 제 호
Cert. No.



황산화물 배출적합증서
SOX EMISSION COMPLIANCE CERTIFICATE
배기가스정화장치에 대한 개별승인 증서
CERTIFICATE OF UNIT APPROVAL FOR EXHAUST GAS CLEANING SYSTEMS

대 한 민 국
REPUBLIC OF KOREA

「1973/78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이하 "협약"이라 한다)을 개정하기 위한
결의서 MEPC.176(58)에 따라 개정된 1997년 의정서에 따라 대한민국정부의 권한으로
발행합니다.
Issued under the provisions of the Protocol of 1997, as amended by resolution MEPC.176(58) in 2008, to
amend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1973, as modified by the
Protocol of 1978 related thereto under the authority of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by
.

이 증서는 결의서 MEPC.259(68)로 채택된 배기가스정화장치에 대한 2015 지침서의 Scheme A에 따른
요구조건에 따라 아래의 장비가 검사되었음을 증명합니다.
This is to certify that the exhaust gas cleaning (EGC) unit listed below has been surveyed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specifications contained under Scheme A in the 2015 Guidelines for exhaust gas
cleaning systems adopted by resolution MEPC.259(68).

이 증서는 아래의 배기가스정화장치에 대해서만 유효합니다.
This Certificate is valid only for the EGC unit referred to below: .
┌─────────┬──────┬───────┬───────────────────────────┐
│제조사 │모델 / 형식 │제조번호 │배기가스정화장치 및 기술 매뉴얼의 승인번호 │
│Unit Manufacturer │Model/ type │Serial number │EGC System Unit and Technical Manual approval number │
├─────────┼──────┼───────┼───────────────────────────┤
│ │ │ │ │
└─────────┴──────┴───────┴───────────────────────────┘
이 증서의 사본과 배기가스정화장치 기술 매뉴얼은 배기가스정화장치가 설치된 선박에 항상
비치되어야 합니다.
A copy of this Certificate, together with the EGC System Technical Manual, shall be carried on board the
ship fitted with this EGC System unit at all times.

이 증서는 MARPOL 부속서 VI의 5장 및 지침서의 4.2항에 따른 검사를 받는 것을 조건으로 대한민국
정부의 권한에 따라 선박에 설치된 배기가스정화장치의 수명 동안 유효합니다.
This Certificate is valid for the life of the EGC System unit, subject to surveys in accordance with
section 4.2 of the guidelines and regulation 5 of MARPOL Annex VI, installed in ships under the
authority of this Government.


년 월 일 에서 발행합니다.

── ── ── ──
Issued at on the day of .

── ── ── ──

─────────────────────────────────
지 방 해 양 수 산 청 장 (인)
(Administrator of the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선 박 안 전 기 술 공 단 이 사 장 (인)
(Chief Director of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선 급 법 인 의 장 (인)
(President of Classification Society)



210mm×297mm[백상지(80g/㎡)]



■ 선박에서의 오염방지에 관한 규칙 [별지 제22호서식] (8쪽 중 제1쪽)
━━━━━━━━━━━━━━━━━━━━━━━━━━━━━━━━━━━━━━━━━━━━━━━━━━━━━━━
증서번호 제 호
Cert. No.______________
━━━━━━━━━━━━━━━━━━━━━━━━━━━━━━━━━━━━━━━━━━━━━━━━━━━━━━━
국제위험화학품산적운송적합증서
INTERNATIONAL CERTIFICATE OF FITNESS FOR THE CARRIAGE
OF DANGEROUS CHEMICALS IN BULK
대 한 민 국
REPUBLIC OF KOREA

「국제위험화학품산적운반선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규칙」[(해사안전위원회 결의 176(79) 및
해사환경보호위원회 결의 119(52)를 말하며, 이하 "규칙"이라 한다]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의
권한으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발행합니다.
Issued under the provisions of the International Code for the 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Ships
Carrying Dangerous Chemicals in Bulk[resolution MSC. 176(79) and MEPC. 119(52)] under the authority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b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선명 │선박번호 또는 │선적항 │총톤수 │선형 │국제해사기구 ┃
┃Name of Ship│호출부호 │Port of Registry│Gross Tonnage │Ship Type │(IMO)번호1) ┃
┃ │Distinctive Number│ │ │ │IMO Number1) ┃
┃ │or Letters │ │ │ │ ┃
┠──────┼─────────┼────────┼───────┼─────┼─────────────┨
┃ │ │ │ │ │ ┃
┗━━━━━━┷━━━━━━━━━┷━━━━━━━━┷━━━━━━━┷━━━━━┷━━━━━━━━━━━━━┛
용골을 거치한 날짜, 이와 동등한 건조단계에 도달한 날짜 또는 위험화학품산적운송선으로의 개조가
시작된 날짜(개조선인 경우):
Date on which keel was laid or on which the ship was at a similar stage of construction or, (in the
case of a converted ship) date on which conversion to a chemical tanker was commenced:
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

이 선박은 규칙의 다음 개정에 대하여 충분히 만족함:
The ship also complies fully with the following amendments to the Cod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이 선박은 규칙 중 다음 규정의 적용이 면제됨:
The ship is exempted from compliance with the following provisions of the Cod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이 증서는 다음 사항을 증명합니다:
THIS IS T0 CERTIFY:

1. 이 선박은 규칙 1.5절에 따라 검사가 행하여졌음.
That the ship has been survey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section 1.5 of the Code.
2. 이 검사의 결과, 이 선박의 구조와 설비 및 그 상태가 모든 점에서 만족하며, 규칙의 관련 규정에
적합함.
That the survey showed that the 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the ship and the conditions thereof are
in all respects satisfactory and that the ship complies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de.
3. 이 선박은 73/78 해양오염방지협약 부속서 Ⅱ의 제14규칙에 의하여 요구되는 동 협약 부속서 Ⅱ의 부록 4에
따른 지침서를 비치하고, 이 선박의 장치 및 설비는 같은 지침서에 규정된 모든 점에서 만족함.
That the ship has been provided with a Manual in accordance with Appendix 4 of AnnexⅡ of MARPOL 73/78
as called for by regulation 14 of AnnexⅡ, and that the arrangements and equipment of the ship
prescribed in the Manual are in all respects satisfactory.

____________________
1) 국제해사기구에서 Res. A.600(15)로 채택된 IMO 선박식별번호계획에 따를 것.
In accordance with IMO ship identification number scheme adopted by the Organization by resolution
A.600(15).


210㎜×297㎜(백상지 120g/㎡)



(8쪽 중 제2쪽)
━━━━━━━━━━━━━━━━━━━━━━━━━━━━━━━━━━━━━━━━━━━━━━━━━━━━━━━
4. 이 선박은 규칙 및 73/78 해양오염방지협약의 모든 관련 작업 요건이 준수될 것을 조건으로 다음
물질의 산적운송에 적합함.
That the ship meets the requirements for the carriage in bulk of the following products, provided that
all relevant operational provisions of the Code and AnnexⅡ of MARPOL 73/78 are observed.
┏━━━━┯━━━━━━━━━━━━━━━━━━━━━┯━━━━━━━━━━━━━━━━━━━━━━━━━━┓
┃화물 │운송조건(탱크 번호 등) │오염분류 ┃
┃Products│Conditions of carriage(tank numbers, etc.)│Pollution ┃
┃ │ │Category ┃
┠────┼─────────────────────┼──────────────────────────┨
┃ │ │ ┃
┠────┴─────────────────────┴──────────────────────────┨
┃추가서명과 날짜가 기입된 별지 1에 계속됨2). ┃
┃Continued on attachment 1, additional signed and dated sheets*. ┃
┃이 표에 기재되어 있는 탱크 번호는 서명 및 날짜가 기입된 별지 2의 탱크 배치도에 명시되어 있음. ┃
┃Tank numbers referred to in this list are identified on attachment 2, signed and dated tank plan. ┃
┗━━━━━━━━━━━━━━━━━━━━━━━━━━━━━━━━━━━━━━━━━━━━━━━━━━━━━┛

52). 규칙 1.4/2.8.2에 따라 이 선박에 대한 규칙의 규정이 다음과 동등한 방법으로 수정되었음:
That, in accordance with 1.4/2.8.2, the provisions of the Code are modified in respect of the ship in
the following manner: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이 선박은 다음과 같이 적하되어야 함:
That the ship must be loaded:
.12) 규칙 2.2.6에 따라 설치된 복원성 계산기기를 사용하여 손상/비손상 복원성요건에 적합함이
검증된 조건으로만 적하
only in accordance with loading conditions verified compliant with intact and damage stability
requirements using the approved stability instrument fitted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2.2.6 of
the Code;
.22) 규칙 2.2.7에 의해 면제되거나, 규칙 2.2.6에 의해 요구되는 승인된 복원성 계산기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는 다음의 승인된 방법으로 적하되어야 함.
where a waiver permitted by paragraph 2.2.7 of the Code is granted and the approved stability
instrument required by paragraph 2.2.6 of the Code is not fitted, loading shall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approved methods;
(i) 주관청 또는 주관청에 의하여 인정된 검사대행기관이 ____년 __월 __일에 날인 서명하여
승인한 적하자료에 명시된 조건에 적합; 또는
in accordance with the loading conditions provided in the approved loading manual, stamped and
dated and signed by a responsible officer of the Administration, or of an
organization recognized by the Administration; or
(ⅱ) 승인된 방법에 의해 원격으로 검증된 조건으로 적하; 또는
in accordance with a loading conditions verified remotely using an approved means; or
(ⅲ) 위 (i)항에 따른 적하자료에 승인된 적하범위 내에서 적하; 또는
in accordance with a loading condition which lies within an approved range of conditions defined
in the approved loading manual referred to in (i) above; or
(ⅳ) 위 (i)항에 따른 적하자료에 규정되어 있는 승인된 KG/GM 값에 적합한 손상/비손상복원성
요건에 따라 적하
in accordance with a loading condition verified using approved critical KG/GM data defined in
the approved loading manual referred to in (i) above;
.32) 이 증서에 첨부된 적하 제한 조건에 따라야 함.
in accordance with the loading limitations appended to this Certificate.

____________________
2)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8쪽 중 제3쪽)
━━━━━━━━━━━━━━━━━━━━━━━━━━━━━━━━━━━━━━━━━━━━━━━━━━━━━━━
만약 위 적하자료에 의한 것 이외의 방법으로 적하하려는 경우 그 적하조건의 판별에 필요한
계산서를 미리 주관청에 제출하여 승인을 얻어야 함.3)
Where it is required to load the ship other tha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instruction, then the
necessary calculations to justify the proposed loading conditions shall be communicated to the certifying
Adminstration who may authorize in writing the adoption of the proposed loading condition.3)

이 증서는 규칙 제1.5절에 따른 검사를 받는 것을 조건으로 ________년________월________일4)까지
유효합니다.
This certificate is valid until ______day of ___________ ________4) subject to surveys in accordance
with 1.5 of the Code.

이 증서 발급을 위한 검사완료일
Completion date of the survey on which this certificate is bas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d/mm/yyyy)
_________년_________월_________일_________________________에서 발행합니다.
Issued at__________________on the_________day of________________ ________.

━━━━━━━━━━━━━━━━━━━━━━━━━━━━━━━━━━━━━━━━━━━━━━━━━━━━━━━

━━
지방해양수산청장 ??
(Administrator of the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선박안전기술공단 이사장 ??
(Chief Director of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선급법인의 장 ??
(President of Classification Society)
━━━━━━━━━━━━━━━━━━━━━━━━━━━━━━━━━━━━━━━━━━━━━━━━━━━━━━━
증서의 완료에 관한 주의:
Notes on completion of Certificate:

1 이 증서는 1974 SOLAS협약 및 73/78 해양오염방지협약 당사국의 국기를 게양하는 선박에만 발급할 수 있다.
The Certificate can be issued only to ships entitled to fly the flags of States which are both a
Contracting Government to the 1974 SOLAS Convention and a Party to MARPOL 73/78.
2 선박의 형식: 이 난에 기입사항은 모든 관련 권고와 관련하여 설명하여야 한다, 예) "2형식"으로 기입하는
것은 코드에서 규정된 모든 관점에서 형식을 의미한다.
Ship Type: Any entry under this column must relate to all relevant recommendations, e.g. an entry
"Type 2" means type 2 in all respects prescribed by the Code.
3 화물: 코드의 제17장에 등록된 화물, 또는 코드 1.1.6항에 따라 주관청에 의하여 평가된 화물이 등록되어야
한다. 후자의 "새로운" 화물에 관하여, 잠정적으로 규정된 특별 요건에 주의하여야 한다.
Products: Products listed in chapter 17 of the Code, or which have been evaluated by the
Administration in accordance with 1.1.6 of the Code, shall be listed. In respect of the latter "new"
products, any special requirements provisionally prescribed shall be noted.
4 화물: 선박이 운송하기에 적합한 화물 명부는 코드에서 다루지 않는 Z류의 유해액체물질을 포함하여야 하며,
"제18장 Z류"로 식별하여야 한다.
Products: The list of products the ship is suitable to carry shall include the Noxious Liquid
Substances of Category Z which are not covered by the Code and shall be identified a "chapter 18
Category Z".

____________________
3) 해당 문구를 이 증서에 포함시키는 대신 서명 및 날인된 별지에 해당 문구를 기재하여 이 증서에 첨부할 수
있음.
Instead of being incorporated in the Certificate, this text may be appended to the Certificate if
signed and stamped.
4) 규칙의 1.5.5.1항에 따라 주관청이 명시한 완료일을 기재할 것. 이 날짜의 일월은, 규칙의 1.5.6.8항에
따라서 개정되지 않은 경우, 규칙 1.3.3항에 명시된 연차일과 같아야 한다.
Insert the date of expiry as specified by the Administration in accordance with 1.5.6.1 of the Code.
The day and the month of this day correspond to the anniversary date as defined in 1.3.3 of the Code,
unless amended in accordance with 1.5.6.8 of the Code.
━━━━━━━━━━━━━━━━━━━━━━━━━━━━━━━━━━━━━━━━━━━━━━━━━━━━━━━


(8쪽 중 제4쪽)
━━━━━━━━━━━━━━━━━━━━━━━━━━━━━━━━━━━━━━━━━━━━━━━━━━━
검사의 확인
ENDORSEMENT FOR ANNUAL AND INTERMEDIATE SURVEYS

이 증서는 선박이 규칙 제1.5.2항에 따라 요구되는 검사 결과 규칙의 관련 규정에 적합함을 증명합니다
:
THIS IS TO CERTIFY THAT at a survey required by 1.5.2 of the Code, the ship was found to comply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de:

━━━━━━━━━━━━━━━━━━━━━━━━━━━━━━━━━━━━━━━━━━━━━━━━━━━
연차검사: 서명
Annual Survey: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dd/mm/yyyy): _________________
━━━━━━━━━━━━━━━━━━━━━━━━━━━━━━━━━━━━━━━━━━━━━━━━━━━

━━━━━━━━━━━━━━━━━━━━━━━━━━━━━━━━━━━━━━━━━━━━━━━━━━━
연차/중간2) 검사: 서명
Annual/Intermediate2) Survey: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dd/mm/yyyy): _________________
━━━━━━━━━━━━━━━━━━━━━━━━━━━━━━━━━━━━━━━━━━━━━━━━━━━

━━━━━━━━━━━━━━━━━━━━━━━━━━━━━━━━━━━━━━━━━━━━━━━━━━━
연차/중간2) 검사: 서명
Annual/Intermediate2) Survey: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dd/mm/yyyy): _________________
━━━━━━━━━━━━━━━━━━━━━━━━━━━━━━━━━━━━━━━━━━━━━━━━━━━

━━━━━━━━━━━━━━━━━━━━━━━━━━━━━━━━━━━━━━━━━━━━━━━━━━━
연차검사: 서명
Annual Survey: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dd/mm/yyyy): 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
2)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


(8쪽 중 제5쪽)
━━━━━━━━━━━━━━━━━━━━━━━━━━━━━━━━━━━━━━━━━━━━━━━━━━━━━━━
제1.5.6.8.3항에 따른 연차검사/중간검사
Annual/intermediate survey in accordance with 1.5.6.8.3

이 증서는 선박이 규칙 제1.5.6.8.3항에 따른 연차/중간2)검사의 결과 규칙의 관련 요건에 적합함을
증명합니다.
THIS IS TO CERTIFY that, at an annual/intermediate2) survey in accordance with 1.5.6.8.3 of the Code, the
ship was found to comply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de.
━━━━━━━━━━━━━━━━━━━━━━━━━━━━━━━━━━━━━━━━━━━━━━━━━━━━━━━
서명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제1.5.6.3항이 적용되는 경우 증서의 유효기간이
5년 미만일 때 증서의 유효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이서
Endorsement to extend the certificate if valid for less
than 5 years where 1.5.6.3 applies

이 증서는 선박이 규칙의 관련 요건에 적합하므로 규칙 제1.5.6.3항에 따라_______________까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The ship complies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de, and this certificate should, in accordance
with 1.5.6.3 of the Code, be accepted as valid until__________________________
━━━━━━━━━━━━━━━━━━━━━━━━━━━━━━━━━━━━━━━━━━━━━━━━━━━━━━━
서명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정기검사 완료 후 제1.5.6.4항이 적용되는 경우의 이서
Endorsement where the renewal survey has been completed and 1.5.6.4 applies

이 증서는 선박이 규칙의 관련 요건에 적합하므로 규칙 1.5.6.4항에 따라_________________까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The ship complies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de, and this certificate shall, in accordance
with 1.5.6.4 of the Code, be accepted as valid until__________________________
━━━━━━━━━━━━━━━━━━━━━━━━━━━━━━━━━━━━━━━━━━━━━━━━━━━━━━━
서명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__
2)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


(8쪽 중 제6쪽)
━━━━━━━━━━━━━━━━━━━━━━━━━━━━━━━━━━━━━━━━━━━━━━━━━━
제1.5.6.5/1.5.6.6항이 적용되는 경우 검사 예정 항에 도착시까지
또는 유예기간까지 증서의 유효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이서
Endorsement to extend the validity of the certificate until reaching the
port of survey or for a period of grace where 1.5.6.5/1.5.6.6 applies

이 증서는 규칙 제1.5.6.5/1.5.6.62)항에 따라서_______________________까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This certificate should, in accordance with 1.5.6.5/1.5.6.62) of the Code, be accepted as valid
until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서명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제1.5.6.8항이 적용되는 경우 연차일을 앞당기는 것에 대한 이서
Endorsement for advancement of anniversary date where 1.5.6.8 applies

규칙 제1.5.6.8항에 따라 새로운 연차일은_____________________이다.
In accordance with 1.5.6.8 of the Code, the new anniversary date is_______________________

━━━━━━━━━━━━━━━━━━━━━━━━━━━━━━━━━━━━━━━━━━━━━━━━━━
서명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규칙 제1.5.6.8항에 따라 새로운 연차일은_____________________이다.
In accordance with 1.5.6.8 of the Code, the new anniversary date is ______________________

━━━━━━━━━━━━━━━━━━━━━━━━━━━━━━━━━━━━━━━━━━━━━━━━━━
서명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
2)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


(8쪽 중 제7쪽)

국제위험화학품산적운송적합증서 별지 1
ATTACHMENT 1 TO THE INTERNATIONAL CERTIFICATE OF FITNESS
FOR THE CARRIAGE OF DANGEROUS CHEMICALS IN BULK

이 별지는 앞의 4항에 기재된 화물 및 운송조건의 계속임.
Continued list of products to those specified in section 4, and the conditions
of their carriage.

┏━━━━┯━━━━━━━━━━━━━━━━━━━━━┯━━━━━━━━━━━━━┓
┃화물 │운송조건(탱크번호 등) │오염분류 ┃
┃Products│Conditions of carriage(tank numbers, etc.)│Pollution ┃
┃ │ │Categor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



━━━━━━━
지방해양수산청장 ??
(Administrator of the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선박안전기술공단 이사장 ??
(Chief Director of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선급법인의 장 ??
(President of Classification Society)
━━━━━━━━━━━━━━━━━━━━━━━━━━━━━━━━━━━━━━━━━━


(8쪽 중 제8쪽)
━━━━━━━━━━━━━━━━━━━━━━━━━━━━━━━━━━━━━━━
국제위험화학품산적운송적합증서 별지 2
ATTACHMENT 2 TO THE INTERNATIONAL CERTIFICATE OF FITNESS
FOR THE CARRIAGE OF DANGEROUS CHEMICALS IN BULK

탱크배치도
TANK PLAN

선명:
Name of ship: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선박번호 또는 호출부호:
Distinctive NO. or letter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


━━━━━━━━━━━━━━━━━━━━━━━━━━━━━━━━━━━━━━━

━━
지방해양수산청장 ??
━━(Administrator of the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선박안전기술공단 이사장 ??
(Chief Director of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선급법인의 장 ??
(President of Classification Society)
━━━━━━━━━━━━━━━━━━━━━━━━━━━━━━━━━━━━━━━


■ 선박에서의 오염방지에 관한 규칙 [별지 제24호서식] (8쪽 중 제1쪽)
━━━━━━━━━━━━━━━━━━━━━━━━━━━━━━━━━━━━━━━━━━━━━━━━━━━━━━━━
증서번호 제 호
Cert. No.______________
━━━━━━━━━━━━━━━━━━━━━━━━━━━━━━━━━━━━━━━━━━━━━━━━━━━━━━━━
위험화학품산적운송적합증서
CERTIFICATE OF FITNESS FOR THE CARRIAGE
OF DANGEROUS CHEMICALS IN BULK
대 한 민 국
REPUBLIC OF KOREA

「위험화학품산적운반선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규칙」[해사안전위원회 결의9(53) 및
해양환경보호위원회 결의 20(22)을 말하며, 이하 "규칙"이라 한다]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의 권한으로
____________________ 발행합니다.
Issued under the provisions of the Code for the 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Ships Carrying Dangerous
Chemicals in Bulk[resolutions MSC.9(53) and MEPC.20(22), as amended] under the authority of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by _______________________.

┏━━━━━━┯━━━━━━━┯━━━━┯━━━━━━━━┯━━━━━┯━━━━━━━━━━━━━━━━━━━┓
┃선명 │선박번호 또는 │선적항 │총톤수 │선형 │국제해사기구 ┃
┃Name of Ship│호출부호 │Port of │Gross Tonnage │Ship Type │(IMO)번호 ┃
┃ │Distinctive │Registry│ │ │IMO Number ┃
┃ │Number │ │ │ │ ┃
┃ │or Letters │ │ │ │ ┃
┠──────┼───────┼────┼────────┼─────┼───────────────────┨
┃ │ │ │ │ │ ┃
┃ │ │ │ │ │ ┃
┗━━━━━━┷━━━━━━━┷━━━━┷━━━━━━━━┷━━━━━┷━━━━━━━━━━━━━━━━━━━┛

용골을 거치한 날짜, 이와 동등한 건조단계에 도달한 날짜 또는 위험화학품산적운송선으로의 개조가
시작된 날짜(개조선인 경우):
Date on which keel was laid or ship was at a similar stage of construction or, (in the case of a
converted ship) date on which conversion to a chemical tanker was commenced: ,


건조계약일이 이루어진 날짜:
Date on which the building contract was placed: ,


이 선박은 규칙의 다음 개정에 대하여 충분히 만족함:
The ship also complies fully with the following amendments to the Code:


이 선박은 규칙 중 다음 규정의 적용이 면제됨:
The ship is exempted from compliance with the following provisions of the Code:


이 증서는 다음사항을 증명합니다:
THIS IS T0 CERTIFY:

1. 이 선박은 규칙 1.6절의 규정에 따라 검사가 행하여졌음
That the ship has been survey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section 1.6 of the Code.

2. 검사의 결과, 이 선박의 구조와 설비 및 그 상태가 모든 점에서 만족하며, 다음에 언급된 선박에
적용되는 규칙의 관련 규정에 적합함:
That the survey showed that the 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the ship and the condition thereof are in
all respects satisfactory and that the ship complies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de
applicable to:
*.1 1.7.2항에 언급된 선박
ship referred to in 1.7.2
*.2 1.7.3항에 언급된 선박
ships referred to in 1.7.3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

210㎜×297㎜(백상지 120g/㎡)



(8쪽 중 제2쪽)
3. 이 선박은 73/78 해양오염방지협약 부속서 Ⅱ의 제14규칙에 의하여 요구되는 동 협약 부속서 Ⅱ의
부록4에 따른 지침서를 비치하고, 이 선박의 장치 및 설비는 같은 지침서에 규정된 모든 점에서
만족함.
That the ship has been provided with a Manual in accordance with Appendix 4 of MARPOL 73/78 Annex Ⅱ
as called for by regulation 14 of the Annex, and the arrangements and equipment of the ship prescribed
in the Manual are in all relevant respects satisfactory.
4. 이 선박은 규칙 및 해양오염방지협약 부속서 Ⅱ의 모든 관련 작업요건이 준수될 것을 조건으로
다음 물질의 산적운송에 적합함
That the ship meets the requirements for the carriage in bulk of the following products, provided that
all relevant operational provisions of the Code and MARPOL Annex Ⅱ are observed.
┏━━━━┯━━━━━━━━━━━┯━━━━━━━━━━━━━━━━━━━━━━━━━━━━━━━━━━━━┓
┃화물 │운송조건(탱크번호등) │오염분류 ┃
┃Products│Conditions of carriage│Pollution ┃
┃ │(tank numbers, etc.) │Categor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서명과 날짜가 기입된 별지 1에 계속됨* ┃
┃ Continued on attachment 1, signed and dated sheets.* ┃
┃ 이 표에 기재되어 있는 탱크번호는 서명 및 날짜가 기입된 별지 2의 탱크배치도에 명시되어 있음 ┃
┃ Tank numbers referred to in this list are identified on attachment 2, signed and dated tank plan. ┃
┗━━━━━━━━━━━━━━━━━━━━━━━━━━━━━━━━━━━━━━━━━━━━━━━━━━━━━┛

5. 규칙 1.7.3*/2.2.5*에 따라 이 선박에 대한 규칙의 규정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정되었음:
That, in accordance with 1.7.3*/2.2.5*, the provisions of the Code are modified in respect of the ship
in the following manner:


6. 이 선박은 다음과 같이 적하되어야 함 :
That the ship must be loaded :
.1* 규칙 2.2.1.2에 따라 설치된 복원성 계산기기를 사용하여 손상/비손상 복원성요건에 적합함이
검증된 조건으로만 적하
only in accordance with loading conditions verified compliant with intact and damage stability
requirements using the approved stability instrument fitted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2.2.1.2 of
the Code;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8쪽 중 제3쪽)
.2* 규칙 2.2.1.3에 의해 면제되거나, 규칙 2.2.1.2에 의해 요구되는 승인된 복원성 계산기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는 다음의 승인된 방법으로 적하되어야 함.
where a waiver permitted by paragraph 2.2.1.3 of the Code is granted and the approved stability
instrument required by paragraph 2.2.1.2 of the Code is not fitted, loading shall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approved methods;
(i) 주관청 또는 주관청에 의하여 인정된 검사대행기관이 ____년 __월 __일에 날인 서명하여 승인한
적하자료에 명시된 조건에 적합; 또는
in accordance with the loading conditions provided in the approved loading manual, stamped and
dated _____________ and signed by a responsible officer of the Administration, or of an
organization recognized by Administration; or
(ⅱ) 승인된 방법에 의해 원격으로 검증된 조건으로 적하; 또는
in accordance with a loading conditions verified remotely using an approved means ________ ; or
(ⅲ) 위 (i)항에 따른 적하자료에 승인된 적하범위 내에서 적하; 또는
in accordance with a loading condition which lies within an approved range of conditions
defined in the approved loading manual referred to in (i) above; or
(ⅳ) 위 (i)항에 따른 적하자료에 규정되어 있는 승인된 KG/GM 값에 적합한 손상/비손상복원성
요건에 따라 적하
in accordance with a loading condition verified using approved critical KG/GM data defined in
the approved loading manual referred to in (i) above;
.3* 이 증서에 첨부된 적하 제한 조건에 따라야 함.
in accordance with the loading limitations appended to this Certificate.

만약 위 적하자료에 의한 것 이외의 방법으로 적하하고자 할 경우는 그 적하 조건의 판별에 필요한
계산서를 미리 주관청에 제출하여 승인을 얻어야 함.**
Where it is required to load the ship other tha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instruction, then the
necessary calculations to justify the proposed loading conditions should be communicated to the certifying
Administration who may authorize in writing the adoption of the proposed loading condition.**

━━━━━━━━━━━━━━━━━━━━━━━━━━━━━━━━━━━━━━━━━━━━━━━━━━━━━━━━
이 증서는 규칙 제1.6절에 따른 검사를 받는 것을 조건으로 년 월 일까지
유효합니다.
This certificate is valid until day of subject to surveys and in accordance with
1.6 of the Code.

년 월 일 에서 발행합니다.
Issued at on the day of .


지방해양수산청장 [인]
(Administrator of the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선박안전기술공단 이사장 [인]
(Chief Director of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선급법인의 장 [인]
(President of Classification Society)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해당 문구를 이 증서에 포함시키는 대신 서명 및 날인된 별지에 해당 문구를 기재하여 이 증서에 첨부할 수
있음.
Instead of being incorporated in the Certificate, this text may be appended to the Certificate if
duly signed and stamped.
━━━━━━━━━━━━━━━━━━━━━━━━━━━━━━━━━━━━━━━━━━━━━━━━━━━━━━━━

━━━━━━━━━━━━━━━━━━━━━━━━━━━━━━━━━━━━━━━━━━━━━━━━━━━━━━━━


(8쪽 중 제4쪽)
검사의 확인
ENDORSEMENT FOR ANNUAL AND INTERMEDIATE SURVEYS

이 증서는 선박이 규칙 제1.6.2항에 따라 요구되는 검사결과 규칙의 관련 규정에 적합함을 증명합니다
:
THIS IS TO CERTIFY That, at a survey required by 1.6.2 of the Code, the ship was found to
comply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de :

━━━━━━━━━━━━━━━━━━━━━━━━━━━━━━━━━━━━━━━━━━━━━━━━━━
연차검사 서명
Annual Survey: Signed:
장소
Place:
날짜
Date:
━━━━━━━━━━━━━━━━━━━━━━━━━━━━━━━━━━━━━━━━━━━━━━━━━━

━━━━━━━━━━━━━━━━━━━━━━━━━━━━━━━━━━━━━━━━━━━━━━━━━━
연차*/중간*검사 서명
Annual*/Intermediate* Survey: Signed:
장소
Place:
날짜
Date:
━━━━━━━━━━━━━━━━━━━━━━━━━━━━━━━━━━━━━━━━━━━━━━━━━━

━━━━━━━━━━━━━━━━━━━━━━━━━━━━━━━━━━━━━━━━━━━━━━━━━━
연차*/중간*검사 서명
Annual*/Intermediate* Survey: Signed:
장소
Place:
날짜
Date:
━━━━━━━━━━━━━━━━━━━━━━━━━━━━━━━━━━━━━━━━━━━━━━━━━━

━━━━━━━━━━━━━━━━━━━━━━━━━━━━━━━━━━━━━━━━━━━━━━━━━━
연차검사 서명
Annual Survey: Signed:
장소
Place:
날짜
Date:
━━━━━━━━━━━━━━━━━━━━━━━━━━━━━━━━━━━━━━━━━━━━━━━━━━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


(8쪽 중 제5쪽)
제1.6.6.8.3항에 따른 연차검사/중간검사
Annual/intermediate survey in accordance with 1.6.6.8.3

이 증서는 선박이 규칙 제1.6.6.8.3항에 따른 연차*/중간*검사의 결과 규칙의 관련 요건에 적합함을
증명합니다.
THIS IS TO CERTIFY that, at an annual*/intermediate* survey in accordance with 1.6.6.8.3 of the
Code, the ship was found to comply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de.

━━━━━━━━━━━━━━━━━━━━━━━━━━━━━━━━━━━━━━━━━━━━━━━━━━━━
서명
Signed:
장소
Place:
날짜
Date:

━━━━━━━━━━━━━━━━━━━━━━━━━━━━━━━━━━━━━━━━━━━━━━━━━━━━

제1.6.6.3항이 적용되는 경우 증서의 유효기간이
5년 미만일 때 증서의 유효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이서
Endorsement to extend the certificate if valid for less than 5 years
where 1.6.6.3 applies

이 증서는 선박이 규칙의 관련 요건에 적합하므로 규칙 제1.6.6.3항에 따라
까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The ship complies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de, and this certificate should, in
accordance with 1.6.6.3 of the Code, be accepted as valid until
.

━━━━━━━━━━━━━━━━━━━━━━━━━━━━━━━━━━━━━━━━━━━━━━━━━━━━
서명
Signed:
장소
Place:
날짜
Date:

━━━━━━━━━━━━━━━━━━━━━━━━━━━━━━━━━━━━━━━━━━━━━━━━━━━━

정기검사 완료후 제1.6.6.4항이 적용되는 경우의 이서
Endorsement where the renewal survey has been completed
and 1.6.6.4 applies

이 증서는 선박이 규칙의 관련 요건에 적합하므로 규칙 1.6.6.4항에 따라 까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
The ship complies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de, and this certificate shall, in
accordance with 1.6.6.4 of the Code, be accepted as valid until .
━━━━━━━━━━━━━━━━━━━━━━━━━━━━━━━━━━━━━━━━━━━━━━━━━━━━
서명
Signed:
장소
Place:
날짜
Date:

━━━━━━━━━━━━━━━━━━━━━━━━━━━━━━━━━━━━━━━━━━━━━━━━━━━━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


(8쪽 중 제6쪽)
제1.6.6.5/1.6.6.6항이 적용되는 경우 검사 예정항에 도착시까지
또는 유예기간까지 증서의 유효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이서
Endorsement to extend the validity of the certificate until reaching the
port of survey or for a period of grace where 1.6.6.5/1.6.6.6 applies

이 증서는 규칙 제1.6.6.5*/1.6.6.6*항에 따라서 까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This certificate should, in accordance with 1.6.6.5*/1.6.6.6* of the Code, be accepted as valid
until .
━━━━━━━━━━━━━━━━━━━━━━━━━━━━━━━━━━━━━━━━━━━━━━━━━━━
서명
Signed:
장소
Place:
날짜
Date:

━━━━━━━━━━━━━━━━━━━━━━━━━━━━━━━━━━━━━━━━━━━━━━━━━━━
제1.6.6.8항이 적용되는 경우 연차일을 앞당기는 것에 대한 이서
Endorsement for advancement of anniversary date where 1.6.6.8 applies
규칙 제1.6.6.8항에 따라 새로운 연차일은 이다.
In accordance with 1.6.6.8 of the Code, the new anniversary date is .
━━━━━━━━━━━━━━━━━━━━━━━━━━━━━━━━━━━━━━━━━━━━━━━━━━━
서명
Signed:
장소
Place:
날짜
Date:

━━━━━━━━━━━━━━━━━━━━━━━━━━━━━━━━━━━━━━━━━━━━━━━━━━━

규칙 제1.6.6.8항에 따라 새로운 연차일은 이다.
In accordance with 1.6.6.8 of the Code, the new anniversary date is .
━━━━━━━━━━━━━━━━━━━━━━━━━━━━━━━━━━━━━━━━━━━━━━━━━━━
서명
Signed:
장소
Place:
날짜
Date:
━━━━━━━━━━━━━━━━━━━━━━━━━━━━━━━━━━━━━━━━━━━━━━━━━━━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


(8쪽 중 제7쪽)

위험화학품산적운송적합증서 별지 1
ATTACHMENT 1 TO THE CERTIFICATE OF FITNESS FOR THE
CARRIAGE OF DANGEROUS CHEMICALS IN BULK

이 별지는 제4항에 기재된 화물 및 운송조건의 계속임.
Continued list of products to those specified in section 4, and the conditions of their carriage.

┏━━━━┯━━━━━━━━━━━┯━━━━━━━━━━━━━━━━━━━━━━━━━━━━━━━━┓
┃화물 │운송조건(탱크 번호 등)│오염분류 ┃
┃Products│Conditions of carriage│Pollution ┃
┃ │(tank numbers, etc.) │Category ┃
┠────┼───────────┼────────────────────────────────┨
┃ │ │ ┃
┗━━━━┷━━━━━━━━━━━┷━━━━━━━━━━━━━━━━━━━━━━━━━━━━━━━━┛

날짜
Date:

지방해양수산청장 [인]
(Administrator of the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선박안전기술공단이사장 [인]
(Chief Director of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선급법인의 장 [인]
(President of Classification Society)




(8쪽 중 제8쪽)

위험화학품산적운송적합증서 별지 2
ATTACHMENT 2 TO THE CERTIFICATE OF FITNESS FOR THE
CARRIAGE OF DANGEROUS CHEMICALS IN BULK

탱크배치도
TANK PLAN

선명:
Name of ship:

선박번호 또는 호출부호:
Distinctive Number or Letters:








날짜:
Date:


지방해양수산청장 [인]
(Administrator of the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선박안전기술공단 이사장 [인]
(Chief Director of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선급법인의 장 [인]
(President of Classification Society)
━━━━━━━━━━━━━━━━━━━━━━━━━━━━━━━━━━━━━━━


■ 선박에서의 오염방지에 관한 규칙 [별지 제25호서식] (21쪽 중 제1쪽)
━━━━━━━━━━━━━━━━━━━━━━━━━━━━━━━━━━━━━━━━━━━━━━━━
증서번호 제 호
Cert. No.______________
━━━━━━━━━━━━━━━━━━━━━━━━━━━━━━━━━━━━━━━━━━━━━━━━
국제기름오염방지증서
INTERNATIONAL OIL POLLUTION PREVENTION CERTIFICATE

대 한 민 국
REPUBLIC OF KOREA

이 증서에는 구조 및 설비 기록부를 추록으로 첨부하여야 합니다.
This certificate shall be supplemented by a Record of Construction and Equipment.

「1973년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에 관한 1978년 의정서」에 의하여 수정되고, 그
이후 개정된 「1973년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이하 "협약"이라 한다)의 규정에
의하여 대한민국 정부의 권한으로 ______________________에서 발행합니다.
Issued under the provisions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1973, as modified by the Protocol of 1978 relating thereto, as amend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vention") under the authority of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by ________________.

선박의 명세
Particulars of ship
┏━━━━┯━━━━━━━━━━━┯━━━━┯━━━━┯━━━━━━━━━━━┯━━━━━━━┓
┃선명 │선박번호 또는 호출부호│선적항 │총톤수 │재화중량톤수(미터톤)1)│국제해사기구 ┃
┃Name of │Distinctive Number │Port of │Gross │Deadweight of Ship │(IMO)번호2) ┃
┃Ship │or Letters │Registry│Tonnage │(metric tonnes)1) │IMO ┃
┃ │ │ │ │ │Number2) ┃
┠────┼───────────┼────┼────┼───────────┼───────┨
┃ │ │ │ │ │ ┃
┗━━━━┷━━━━━━━━━━━┷━━━━┷━━━━┷━━━━━━━━━━━┷━━━━━━━┛

선박의 종류3):
Type of Ship3):

유조선
Oil tanker

유조선 외의 선박으로 협약 부속서Ⅰ 제2.2규칙에 규정하는 화물 탱크를 가진 선박
Ship other than an oil tanker with cargo tanks coming under regulation 2.2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그 밖의 선박
Ship other than any of the above



__________________
1) 유조선에만 적용.
For oil tankers only.
2) 국제해사기구에서 Res. A.600(15)로 채택된 IMO 선박식별번호계획에 따를 것.
In accordance with IMO ship identification number scheme adopted by the Organization by
resolution A.600(15).
3)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210㎜×297㎜(백상지 120g/㎡)




(21쪽 중 제2쪽)
━━━━━━━━━━━━━━━━━━━━━━━━━━━━━━━━━━━━━━━━━━━━━━━━━━━━━━
이 증서는 다음 사항을 증명합니다:
THIS IS TO CERTIFY:

1. 이 선박은 협약 부속서Ⅰ 제6규칙에 따라 검사를 받았음.
That the ship has been surveyed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6 of AnnexⅠof the
Convention.

2. 검사의 결과 이 선박의 구조·설비시스템·장치·부착물·배치 및 재료와 그 상태가 모든
점에서 만족하며, 이 선박이 협약 부속서Ⅰ의 해당 요건에 적합함.
That the survey shows that the structure, equipment systems, fittings, arrangements and
material of the ship and the conditions thereof are in all respects satisfactory and that
the ship complies with the applicable requirements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이 증서는 협약 부속서Ⅰ 제6규칙에 따라 검사를 받는 것을 조건으로 ________년_______월________일4)까지
유효합니다.
This certificate is valid until ______day of ____________ ________4) subject to surveys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6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증서 발행의 근거가 되는 검사가 완료된 날짜 : ________년________월________일
Completion date of the survey on which this certificate is based: 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에서 발행합니다.
Issued at _______________________.


━━━━━━━━━━━━━━━━━━━━━━━━━━━━━━━━━━━━━━━━━━━━━━━━━━━━━━
지방해양수산청장 ??
━━(Administrator of the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선박안전기술공단이사장 ??
━━(Chief Director of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선급법인의 장 ??
(President of Classification Society)
━━

━━━━━━━━━━━━━━━━━━━━━━━━━━━━━━━━━━━━━━━━━━━━━━━━━━━━━━








________________
4) 협약 부속서Ⅰ 제10.1규칙에 따라 주관청이 지정한 대로 만료일을 기재한다. 이 날짜의 월일은
협약 부속서Ⅰ 제10.8규칙에 따라 수정되지 않으면 협약 부속서Ⅰ 제1.27규칙에 정의된 연차일과
같다.
Insert the date of expiry as specified by the Administration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10.1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The day and the month of this day correspond to the
anniversary date as defined in regulation 1.27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unless amended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10.8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


(21쪽 중 제3쪽)
━━━━━━━━━━━━━━━━━━━━━━━━━━━━━━━━━━━━━━━━━━━━━━━━━━
제2종 중간 검사 및 제1종 중간 검사에 관한 이서
ENDORSEMENT FOR ANNUAL AND INTERMEDIATE SURVEYS

이 증서는 선박이 협약 부속서Ⅰ 제6규칙에 따라 요구되는 검사 결과 협약의 관련 규정에 적합함을
증명합니다:
THIS IS TO CERTIFY that at a survey required by regulation 6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the
ship was found to comply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
제2종 중간 검사 서명
Annual Survey: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제2종 중간3)/제1종 중간3) 검사 서명
Annual3)/Intermediate3) Survey: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제2종 중간3)/제1종 중간3) 검사 서명
Annual3)/Intermediate3) Survey: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제2종 중간 검사 서명
Annual Survey: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
3)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


(21쪽 중 제4쪽)
━━━━━━━━━━━━━━━━━━━━━━━━━━━━━━━━━━━━━━━━━━━━━━━━━━
제10.8.3규칙에 따른 제2종 중간/제1종 중간 검사
Annual/intermediate survey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10.8.3

이 증서는 선박이 협약 부속서Ⅰ 제10.8.3규칙에 따른 제2종 중간/제1종 중간3) 검사의 결과 협약의
관련요건에 적합함을 증명합니다.
THIS IS TO CERTIFY that, at an annual/intermediate3) survey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10.8.3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the ship was found to comply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
서명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제10.3규칙이 적용되는 경우 증서의
유효기간이 5년 미만일 때 증서의 유효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이서
Endorsement to extend the certificate if valid for less
than 5 years where regulation 10.3 applies

이 증서는 선박이 협약의 관련 요건에 적합하므로 협약 부속서Ⅰ 10.3규칙에
따라_________________까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The ship complies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and this certificate shall,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10.3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be accepted as valid
until____________.

━━━━━━━━━━━━━━━━━━━━━━━━━━━━━━━━━━━━━━━━━━━━━━━━━━
서명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정기 검사 완료 후 제10.4규칙이 적용되는 경우의 이서
Endorsement where the renewal survey has been completed and
regulation 10.4 applies

이 증서는 선박이 협약의 관련 요건에 적합하므로 협약 부속서Ⅰ 제10.4규칙에
따라_______________까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The ship complies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and this certificate shall,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10.4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be accepted as valid
until____________.

━━━━━━━━━━━━━━━━━━━━━━━━━━━━━━━━━━━━━━━━━━━━━━━━━━
서명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__
3)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


(21쪽 중 제5쪽)
━━━━━━━━━━━━━━━━━━━━━━━━━━━━━━━━━━━━━━━━━━━━━━━━
제10.5 또는 제10.6규칙이 적용되는 경우, 검사 예정항에 도착 시까지
또는 유예기간까지 증서의 유효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이서
Endorsement to extend the validity of the certificate until reaching the
port of survey or for a period of grace where regulation 10.5 or 10.6 applies

이 증서는 협약 부속서Ⅰ 10.5 또는 10.63)규칙에 따라서 ___________________까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This certificate shall,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10.5 of 10.63)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be accepted as valid until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서명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제10.8규칙이 적용되는 경우 연차일을 앞당기는 것에 대한 이서
Endorsement for advancement of anniversary date where regulation 10.8
applies

협약 부속서Ⅰ 제10.8규칙에 따라 새로운 연차일은 _____________________이다.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10.8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the new anniversary
date is ___________.

━━━━━━━━━━━━━━━━━━━━━━━━━━━━━━━━━━━━━━━━━━━━━━━━
서명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협약 부속서Ⅰ 제10.8규칙에 따라 새로운 연차일은_____________________이다.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10.8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the new anniversary
date is ___________.

━━━━━━━━━━━━━━━━━━━━━━━━━━━━━━━━━━━━━━━━━━━━━━━━
서명
Sign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소
Pla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날짜
Dat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__________________
3)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Delete as appropriate.
━━━━━━━━━━━━━━━━━━━━━━━━━━━━━━━━━━━━━━━━━━━━━━━━


(21쪽 중 제6쪽)
━━━━━━━━━━━━━━━━━━━━━━━━━━━━━━━━━━━━━━━━━━━━━━━━━
국제기름오염방지증서(IOPP증서) 추록(FORM A)
SUPPLEMENT TO THE INTERNATIONAL OIL POLLUTION PREVENTION CERTIFICATE
(IOPP CERTIFICATE)

유조선 외의 선박을 위한 구조 및 설비의 기록
RECORD OF CONSTRUCTION AND EQUIPMENT FOR SHIPS
OTHER THAN OIL TANKERS

「1973년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 및 같은 협약에 관한 1978년 의정서(이하
"협약"이라 한다)의 부속서Ⅰ의 규정에 의합니다.
In respect of provisions of AnnexⅠ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1973, as modified by the Protocol of 1978 relating thereto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vention").

━━━━━━━━━━━━━━━━━━━━━━━━━━━━━━━━━━━━━━━━━━━━━━━━━

1. 선박의 중요 항목:
PARTICULARS OF SHIP:
1.1 선명:
Name of ship: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2 선박 번호 또는 호출부호:
Distinctive number or letter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3 선적항:
Port of registr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4 총톤수:
Gross tonnag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5 건조일:
Date of build:
1.5.1 건조계약일
Date of building contrac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5.2 용골이 거치 되거나 또는 그와 동등의 건조 단계에 도달한 날짜
Date on which keel was laid or ship was at a similar
stage of constructi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5.3 인도일
Date of deliver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6 주요 개조(적용되는 경우):
Major conversion(if applicable):
1.6.1 개조 계약일
Date of conversion contrac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6.2 개조가 개시된 날
Date on which conversion was commenc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6.3 개조가 완료된 날
Date of completion of conversi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7 인도가 예기치 못한 사유에 의하여 늦어져서 제1.28.1항의 규정에 따른 "1979년 12월 31일
이전에 인도된 선박"이라고 주관청에 의하여 인정된 선박:
The ship has been accepted by the Administration as a "ship delivered on or before 31
December 1979" under regulation 1.28.1 due to unforeseen delay in delivery□
━━━━━━━━━━━━━━━━━━━━━━━━━━━━━━━━━━━━━━━━━━━━━━━━━


(21쪽 중 제7쪽)
━━━━━━━━━━━━━━━━━━━━━━━━━━━━━━━━━━━━━━━━━━━━━━━━━━
2. 기관구역의 선저폐수 및 연료유탱크로부터 기름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설비(제16규칙 및
제14규칙)
EQUIPMENT FOR THE CONTROL OF OIL DISCHARGE FROM MACHINERY SPACE BILGES AND OIL FUEL
TANKS(Regulations 16 and 14)
2.1 연료유 탱크에 선박평형수의 적재:
Carriage of ballast water in oil fuel tanks:
2.1.1 통상의 상황에서 연료유 탱크에 선박평형수를 적재할 수 있는 선박
The ship may under normal conditions carry ballast water in oil fuel tanks□
2.2 비치되어 있는 기름여과장치:
Type of oil filtering equipment fitted:
2.2.1 기름여과장치(15 ppm)(제14.6규칙)
Oil filtering(15 ppm) equipment(Regulation 14.6)□
2.2.2 선저폐수농도 경보장치 및 자동배출정지장치를 갖춘 기름여과장치(15ppm)(제14.7규칙)
Oil filtering(15 ppm) equipment with alarm and automatic stopping device(Regulation
14.7)□
2.3 승인기준:
Approval standards:
2.3.1 유수분리/기름여과장치:
The separating/filtering equipment:
.1 결의 A.393(Ⅹ)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A.393(Ⅹ)□
.2 결의 MEPC.60(33)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MEPC.60(33)□
.3 결의 MEPC.107(49)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MEPC.107(49)□
.4 결의 A.233(Ⅶ)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A.233(Ⅶ)□
.5 결의 A.393(Ⅹ) 또는 결의 A.233(Ⅶ)에 의하지 않은 국내기준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National Standards not based upon Resolution
A.393(Ⅹ) or A.233(Ⅶ)□
.6 승인되지 않은 것
has not been approved□
2.3.2 부속처리장치는 결의 A.444(?)에 따라 승인되었다.
The process unit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A.444(?).□
2.3.3 유분농도계 :
The oil content meter:
.1 결의 A.393(Ⅹ)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A.393(Ⅹ)□
.2 결의 MEPC.60(33)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MEPC.60(33)□
.3 결의 MEPC.107(49)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MEPC.107(49)□
2.4 장치의 최대 처리 능력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세제곱미터/시간
Maximum throughput of the system i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h.
2.5 제14규칙의 면제:
Waiver of Regulation 14:
2.5.1 제14.1규칙 또는 제14.2규칙의 요건은 제14.5규칙을 따르는 선박에 대하여는 면제된다.
2.5.1.1 이 선박은 국제특별해역 내의 항해에만 전적으로 종사한다.
The ship is engaged exclusively on voyages within special area(s).□
2.5.1.2 이 선박에 대하여는 고속선의 안전에 대한 국제코드에 따라 증서를 발행하고, 해당
선박은 24시간을 넘지 않는 항해시간이 예정되어 있다.
The ship is certified under the International Code of Safety for High-Speed Craft
an engaged on a scheduled service with a turn-around time not exceeding 24 hours.□
2.5.2 이 선박은 다음과 같이 모든 선저폐수를 선내에 보유하기 위한 선저폐수저장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The ship is fitted with holding tank(s) for the total retention on board of all
oily bilge water as follows.□
━━━━━━━━━━━━━━━━━━━━━━━━━━━━━━━━━━━━━━━━━━━━━━━━━━


(21쪽 중 제8쪽)
━┳━━━━━━━┯━━━━━━━━━━━━━━━━━━━┯━━━━━━━┳━━━━━━━━━━━━━━━
┃탱크 식별 기호│탱크 배치(Tank Location) │용량 ┃
┃Tank ├──────────┬────────┤Volume ┃
┃Identification│늑골 (Frames) │측면 위치 │(㎥) ┃
┃ │부터(from)∼까지(to)│Lateral Position│ ┃
┠───────┼──────────┼────────┼───────┨
┃ │ │ │ ┃
┗━━━━━━━┷━━━━━━━━━━┷━━━━━━━━╅───────┨
┃총용량 ┃
┃Total Volume ┃
┃___________㎥ ┃
━━ ┗━━━━━━━┛

2A.1 이 선박은 제12A규칙에 따라서 건조될 것이 요구되며 다음의 요건에 적합하다 :
The ship is required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regulation 12A and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6항 그리고 7항이나 8항(이중선체구조)
paragraph 6 and either 7 or 8(double hull construction)□
11항(사고로 인한 연료유 유출성능 비율)
paragraph 11(accidental oil fuel outflow performance)□
2A.2 이 선박은 제12A규칙의 요건에 적합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The ship is not required to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s 12A□
3. 유성찌꺼기의 저장 및 처리(제12규칙)와 선저폐수저장탱크1)
MEANS FOR RETENTION AND DISPOSAL OF OIL RESIDUES(SLUDGE)(Regulation 12) AND OILY BILGE
WATER HOLDING TANK(S)1)
3.1 이 선박에는 다음과 같이 유성찌꺼기의 저장을 위한 유성찌꺼기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The ship is provided with oil residue(sludge) tanks for retention of oil residues
(sludge) on board as follows:
━┳━━━━━━━┯━━━━━━━━━━━━━━━━━━━┯━━━━━━━┳━━━━━━━━━━━━━━━
┃탱크 식별 기호│탱크 배치(Tank Location) │용량 ┃
┃Tank ├──────────┬────────┤Volume ┃
┃Identification│늑골(Frames) │측면 위치 │(㎥) ┃
┃ │부터(from)∼까지(to)│Lateral Position│ ┃
┠───────┼──────────┼────────┼───────┨
┃ │ │ │ ┃
┗━━━━━━━┷━━━━━━━━━━┷━━━━━━━━╅───────┨
┃총용량 ┃
┃Total Volume ┃
┃___________㎥ ┃
━━ ┗━━━━━━━┛
3.2 유성찌꺼기탱크에 저장된 유성찌꺼기의 처분 수단:
Means for the disposal of oil residues (sludge) retained in oil residue (sludge) tanks:
3.2.1 유성찌꺼기 소각기
Incinerator for oil residues (sludge)□
3.2.2 유성찌꺼기를 태우기에 적합한 보조 보일러
Auxiliary boiler suitable for burning oil residues (sludge)□
3.2.3 그 밖에 인정할 수 있는 수단, 방법을 표시할 것
Other acceptable means, state which □
3.3 이 선박은 다음과 같이 선저폐수를 선내에 보유하기 위한 선저폐수저장탱크를 설치하고 있다.
The ship is provided with holding tank(s) for the retention on board of oily bilge water
as follows.
━━━━━━━━━━━━━━━━━━━━━━━━━━━━━━━━━━━━━━━━━━━━━━━━━━━━━
____________________
1) 선저폐수저장탱크는 협약에서 요구되지 않으며, 설치되는 경우 제3.3항에 기입하여야 한다.
Oily bilge water holding tank(s) are not required by the Convention, if such tank(s) are provided
they shall be listed in Table 3.3.
━━━━━━━━━━━━━━━━━━━━━━━━━━━━━━━━━━━━━━━━━━━━━━━━━━━━━


(21쪽 중 제9쪽)
━┳━━━━━━━┯━━━━━━━━━━━━━━━━━━━┯━━━━━━━┳━━━━━━━━━━━━
┃탱크 식별 기호│탱크 배치(Tank Location) │용량 ┃
┃Tank ├──────────┬────────┤Volume ┃
┃Identification│늑골(Frames) │측면 위치 │(㎥) ┃
┃ │부터(from)∼까지(to)│Lateral Position│ ┃
┠───────┼──────────┼────────┼───────┨
┃ │ │ │ ┃
┗━━━━━━━┷━━━━━━━━━━┷━━━━━━━━╅───────┨
┃총용량 ┃
┃Total Volume ┃
┃___________㎥ ┃
━━ ┗━━━━━━━┛
4. 표준 배출연결구(제13규칙)
STANDARD DISCHARGE CONNECTION(Regulation 13)
4.1 이 선박은 제13규칙의 규정에 적합한 표준배출연결구를 부착하고 있고 기관구역의 선저폐수와
유성찌꺼기를 수용시설에 배출하기 위한 관을 비치하고 있다.
The ship is provided with a pipeline for the discharge of residues from machinery bilges
and sludges to reception facilities, fitted with a standard discharge connection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13.□

5. 선상 기름/해양 오염 비상 계획(제37규칙)
SHIPBOARD OIL/MARINE POLLUTION EMERGENCY PLAN(Regulation 37)
5.1 이 선박은 제37규칙에 따라 기름의 선박해양오염비상계획서를 비치하고 있다.
The ship is provided with a shipboard oil pollution emergency plan in compliance
with Regulation 37.□
5.2 이 선박은 제37.3규칙에 따라 선박해양오염비상계획서를 비치하고 있다.
The ship is provided with a shipboard marine pollution emergency plan in compliance
with Regulation 37.3.□

6. 면제
EXEMPTION
6.1 이 기록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항의 항목에
대하여 협약 부속서Ⅰ 제3장의 요건은 제3.1규칙의 규정에 따라 주관청에 의하여 면제되어
있다.
Exemptions have been granted by the Administration from the requirements of Chapter 3 of
AnnexⅠ of the Convention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3.1 on those items listed under
paragraph(s) of this Record.□

7. 동등물(제5규칙)
EQUIVALENTS(Regulation 5)
7.1 이 기록의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항의 항목에
대하여 협약 부속서Ⅰ의 요건의 동등물이 주관청에 의하여 승인되어 있다.
Equivalents have been approved by the Administration for certain requirements of AnnexⅠ
on those items listed under paragraph(s) of this Record.□
━━━━━━━━━━━━━━━━━━━━━━━━━━━━━━━━━━━━━━━━━━━━━━━━━━


(21쪽 중 제10쪽)
━━━━━━━━━━━━━━━━━━━━━━━━━━━━━━━━━━━━━━━━━━━━━━━

8. 극지운항선박규칙의 Part II-A/1장의 준수
Compliance with part II-A ? chapter 1 of the Polar Code
8.1 이 선박은 극지운항선박규칙의 Part II-A/1장의 1.2절 및 도입부의 환경 관련 규정의 추가
요건들을 준수하고 있다.
The ship is in compliance with additional requirements in the environment-related
provision of the Introduction and section 1.2 of chapter 1 of part II-A of the Polar
code.□


이 기록은 모든 점에서 틀림없음을 증명합니다.
This is to certify that this Record is correct in all respect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에서 발행합니다.
Issued a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지방해양수산청장 ??
━━(Administrator of the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선박안전기술공단이사장 ??
(Chief Director of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선급법인의 장 ??
(President of Classification Society)
━━━━━━━━━━━━━━━━━━━━━━━━━━━━━━━━━━━━━━━━━━━━━━━


(21쪽 중 제11쪽)
━━━━━━━━━━━━━━━━━━━━━━━━━━━━━━━━━━━━━━━━━━━━━━━━━━━
국제기름오염방지증서(IOPP증서) 추록(FORM B)
SUPPLEMENT TO THE INTERNATIONAL OIL POLLUTION PREVENTION CERTIFICATE(IOPP CERTIFICATE)
유조선을 위한 구조 및 설비의 기록
RECORD OF CONSTRUCTION AND EQUIPMENT FOR OIL TANKERS

「1973년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 및 같은 협약에 관한 1978년 의정서(이하
"협약"이라 한다)의 부속서Ⅰ의 규정에 의합니다.
In respect of provisions of AnnexⅠ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1973, as modified by the Protocol of 1978 relating thereto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vention").

1. 선박의 중요 항목:
PARTICULARS OF SHIP:
1.1 선명:
Name of ship: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2 선박 번호 또는 호출부호:
Distinctive number or letter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3 선적항:
Port of registr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4 총톤수:
Gross tonnag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5 선박의 화물적재용량: (세제곱미터)
Carrying capacity of ship: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6 선박의 재화중량톤수: (톤)(제1.23규칙)
Deadweight of ship: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tonnes)(Regulation 1.23)
1.7 선박의 길이: (미터)(제1.19규칙)
Length of ship: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m)(Regulation 1.19)
1.8 건조일:
Date of buil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8.1 건조 계약일
Date of building contrac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8.2 용골이 거치 되거나 또는 그와 동등의 건조 단계에 도달한 날짜
Date on which keel was laid or ship was at a similar
stage of constructi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8.3 인도일
Date of deliver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9 주요 개조(적용되는 경우):
Major conversion(if applicable):
1.9.1 개조 계약일
Date of conversion contrac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9.2 개조가 개시된 날
Date on which conversion was commenc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9.3 개조가 완료된 날
Date of completion of conversi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21쪽 중 제12쪽)
━━━━━━━━━━━━━━━━━━━━━━━━━━━━━━━━━━━━━━━━━━━━━━━━━━━━
1.10 인도시 예기치 못한 지연:
Unforeseen delay in delivery:
1.10.1 인도가 예기치 못한 사유에 의하여 늦어져서 제1.28.1항의 규정에 따른 "1979년 12월 31일
이전에 인도된 선박"이라고 주관청에 의하여 인정된 선박
The ship has been accepted by the Administration as a "ship delivered on or before 31
December 1979" under regulation 1.28.1 due to unforeseen delay in delivery□
1.10.2 인도가 예기치 못한 사유에 의하여 늦어져서 제1.28.3규칙에 따른 "1982년 1월 1일 이전에
인도된 유조선"이라고 주관청에 의해서 인정된 선박
The ship has been accepted by the Administration as an "oil tanker delivered on or
before 1 June 1982" under regulation 1.28.3 due to unforeseen delay in delivery□
1.10.3 인도가 예기치 못한 사유에 의하여 늦어져서 제26규칙을 적용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선박
The ship is not required to comply with the provisions of regulation 26 due to
the unforeseen delay in delivery□
1.11 선박의 종류
Type of ship:
1.11.1 원유 유조선
Crude oil tanker□
1.11.2 석유 제품 유조선
Product carrier□
1.11.3 연료유나 제20.2규칙에 따른 중유, 또는 윤활유를 운송하지 않는 석유 제품 유조선
Product carrier not carrying fuel oil or heavy diesel oil as referred to in regulation
20.2, or lubricating oil□
1.11.4 원유/석유 제품 유조선
Crude oil/product carrier□
1.11.5 겸용선
Combination carrier□
1.11.6 유조선 외의 선박으로 협약 부속서 Ⅰ 제2.2규칙에 규정하는 화물 탱크를 가진 선박
Ship, other than an oil tanker, with cargo tanks coming under Regulation 2.2 of Annex
Ⅰ of the convention□
1.11.7. 제2.4규칙에 규정하는 화물유를 운송하는 유조선
Oil tanker dedicated to the carriage of products referred to in Regulation 2.4□

2. 기관구역의 선저폐수 및 연료유탱크로부터 기름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설비(제16규칙 및 제14규칙)
EQUIPMENT FOR THE CONTROL OF OIL DISCHARGE FROM MACHINERY SPACE BILGES AND OIL FUEL
TANKS(Regulation 16 and 14)
2.1 연료유 탱크에 선박평형수의 적재 :
Carriage of ballast water in oil fuel tanks :
2.1.1 통상의 상황에서 연료유 탱크에 선박평형수를 적재할 수 있는 선박
The ship may under normal conditions carry ballast water in oil fuel tanks□
2.2 비치되어 있는 기름여과장치 종류:
Type of oil filtering equipment fitted:
2.2.1 기름여과장치(15ppm)(제14.6규칙)
Oil filtering(15ppm) equipment(Regulation 14.6)□
2.2.2 선저 폐수 농도 경보 장치 및 자동배출정지장치를 갖춘 기름여과장치(15ppm)(제14.7 규칙)
Oil filtering(15ppm) equipment with alarm and automatic stopping device(Regulation 14.7)□
2.3 승인 기준:
Approval standards:
2.3.1 유수분리/기름여과장치:
The separating/filtering system:
━━━━━━━━━━━━━━━━━━━━━━━━━━━━━━━━━━━━━━━━━━━━━━━━━━━━


(21쪽 중 제13쪽)
━━━━━━━━━━━━━━━━━━━━━━━━━━━━━━━━━━━━━━━━━━━━━━━━━━

.1 결의 A.393(Ⅹ)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A.393(Ⅹ)□
.2 결의 MEPC.60(33)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MEPC.60(33)□
.3 결의 MEPC.107(49)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MEPC.107(49)□
.4 결의 A.233(Ⅶ)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A.233(Ⅶ)□
.5 결의 A.393(Ⅹ) 또는 결의 A.233(Ⅶ)에 의하지 않은 국내기준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National Standards not based upon Resolution
A.393(Ⅹ) or A.233(Ⅶ)□
.6 승인되지 않은 것
has not been approved□
2.3.2 부속처리장치는 결의 A.444(?)에 따라 승인되었다.
The process unit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A.444(?)□
2.3.3 유분농도계:
The oil content meter:
.1 결의 A.393(Ⅹ)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A.393(Ⅹ)□
.2 결의 MEPC.60(33)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MEPC.60(33)□
.3 결의 MEPC.107(49)에 따라 승인된 것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MEPC.107(49)□
2.4 장치의 최대 처리 능력은 세제곱미터/시간
Maximum throughput of the system is ㎥/h.
2.5 제14규칙의 면제:
Waiver of Regulation 14:
2.5.1 제14.1규칙 또는 제14.2규칙의 사항은 제14.5규칙을 따르는 선박에 대하여는 면제된다.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14.1 or 14.2 are waived in respect of the ship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14.5
이 선박은 국제특별해역내의 항해에만 전적으로 종사한다.
The ship is engaged exclusively on voyages within Special Area(s).□
2.5.2 이 선박은 다음과 같이 모든 선저폐수를 선내에 보유하기 위한 선저폐수저장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he ship is fitted with holding tank(s) for the total retention on board of all oily
bilge water as follows.□
━━━━━━━━━━━━━━━━━━━━━━━━━━━━━━━━━━━━━━━━━━━━━━━━━━

┏━━━━━━━┯━━━━━━━━━━━━━━━━━━━┯━━━━━━━━━━━━━━━━━━━━┓
┃탱크 식별 기호│탱크 배치(Tank Location) │용량 ┃
┃Tank │ │Volume(㎥) ┃
┃Identification├──────────┬────────┼────────────────────┨
┃ │늑골(Frames) │측면위치 │ ┃
┃ │부터(from)∼까지(to)│Lateral Position│ ┃
┠───────┼──────────┼────────┤ ┃
┃ │ │ │ ┃
┗━━━━━━━┷━━━━━━━━━━┷━━━━━━━━╅────────────────────┨
┃총용량 ┃
┃Total Volume ┃
┃ ㎥ ┃
┗━━━━━━━━━━━━━━━━━━━━┛


(21쪽 중 제14쪽)

2.5.3 이 선박은 저장 탱크의 설치 대신 선저폐수를 혼합물탱크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In lieu of the holding tank the ship is provided with arrangements to transfer bilge
water to the slop tank.□
2A.1 이 선박은 제12A규칙에 따라서 건조될 것이 요구되며 다음의 요건에 적합하다 :
The ship is required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regulation 12A and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6항 그리고 7항이나 8항(이중선체구조)
paragraph 6 and either 7 or 8(double hull construction)□
11항(사고로 인한 연료유 유출성능 비율)
paragraph 11(accidental oil fuel outflow performance)□
2A.2 이 선박은 제12A규칙의 요건에 적합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The ship is not required to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12A□

3. 유성찌꺼기의 저장 및 처리(제12규칙)와 선저폐수저장탱크1)
MEANS FOR RETENTION AND DISPOSAL OF OIL RESIDUES(SLUDGE)(Regulation 12) AND OILY BILGE
WATER HOLDING TANK(S)1)
3.1 이 선박에는 다음과 같이 유성찌꺼기의 저장을 위한 유성찌꺼기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The ship is provided with oil residue(sludge) tanks for retention of oil residues (sludge)
on board as follows:
┏━━━━━━━━┯━━━━━━━━━━━━━━━━━━━┯━━━━━━━━━━━━━━━━━━━━━━┓
┃탱크 식별 기호 │탱크 배치(Tank Location) │용량 ┃
┃Tank ├──────────┬────────┤Volume ┃
┃Identification │늑골(Frames) │측면위치 │(㎥) ┃
┃ │부터(from)∼까지(to)│Lateral Position│ ┃
┠────────┼──────────┼────────┼──────────────────────┨
┃ │ │ │ ┃
┗━━━━━━━━┷━━━━━━━━━━┷━━━━━━━━╅──────────────────────┨
┃총용량 ┃
┃Total Volume ┃
┃ ㎥ ┃
┗━━━━━━━━━━━━━━━━━━━━━━┛
3.2 유성찌꺼기탱크에 저장된 유성찌꺼기의 처분 수단:
Means for the disposal of oil residues (sludge) retained in oil residue (sludge) tanks:
3.2.1 유성찌꺼기 소각기
Incinerator for oil residues (sludge)□
3.2.2 유성찌꺼기를 태우기에 적합한 보조 보일러
Auxiliary boiler suitable for burning oil residues (sludge)□
3.2.3 그 밖에 인정할 수 있는 수단, 방법을 표시할 것
Other acceptable means, state which □
3.3 이 선박은 다음과 같이 선저폐수를 선내에 보유하기 위한 선저폐수저장탱크를 설치하고 있다.
The ship is provided with holding tank(s) for the retention on board of oily bilge water
as follows.
┏━━━━━━━┯━━━━━━━━━━━━━━━━━━━┯━━━━━━━━━━━━━━━━━━━━━━━┓
┃탱크 식별 기호│탱크 배치(Tank Location) │용량 ┃
┃Tank ├──────────┬────────┤Volume ┃
┃Identification│늑골(Frames) │측면위치 │(㎥) ┃
┃ │부터(from)~까지(to) │Lateral Position│ ┃
┠───────┼──────────┼────────┼───────────────────────┨
┃ │ │ │ ┃
┗━━━━━━━┷━━━━━━━━━━┷━━━━━━━━╅───────────────────────┨
┃총용량 ┃
┃Total Volume ┃
┃ ㎥ ┃
┗━━━━━━━━━━━━━━━━━━━━━━━┛
____________________
1) 선저폐수저장탱크는 협약에서 요구되지 않으며, 설치되는 경우 제3.3항에 기입하여야 한다.
Oily bilge water holding tank(s) are not required by the Convention, if such tank(s) are provided
they shall be listed in Table 3.3.
━━━━━━━━━━━━━━━━━━━━━━━━━━━━━━━━━━━━━━━━━━━━━━━━━━━━━


(21쪽 중 제15쪽)

4. 표준 배출연결구(제13규칙)
STANDARD DISCHARGE CONNECTION(Regulation 13)
4.1 이 선박은 제13규칙의 규정에 적합한 표준배출연결구를 부착하고 있고 기관구역의 선저폐수와
유성찌꺼기를 수용시설에 배출하기 위한 관을 비치하고 있다.
The ship is provided with a pipeline for the discharge of residues from machinery bilges
and sludges to reception facilities, fitted with a standard discharge connection in
compliance with Regulation 13.□

5. 구조(제18규칙, 제19규칙, 제20규칙, 제23규칙, 제26규칙, 제27규칙 및 제28규칙)
CONSTRUCTION(Regulation 18, 19, 20, 23, 26, 27 and 28)
5.1 제18규칙의 요건에 따라 이 선박은 제18.9규칙에 따른 분리평형수탱크 요건에 적합한 유조선이다.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18, the ship is qualified as a
segregated tanker in compliance with regulation 18.9.□
5.2 제18규칙에 따른 분리평형수탱크는 다음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Segregated ballast tanks(SBT) in compliance with regulation 18 are distributed as
follows:
┏━━┯━━━━━━━━┯━━┯━━━━━━━━━━━━━━━━━━━━━━━━━━━━━━━━━━━┓
┃탱크│용량(세제곱미터)│탱크│용량(세제곱미터) ┃
┃Tank│Volume(㎥) │Tank│Volume(㎥) ┃
┠──┼────────┼──┼───────────────────────────────────┨
┃ │ │ │ ┃
┃ │ ├──┴───────────────────────────────────┨
┃ │ │총 용량 ┃
┃ │ │Total ┃
┃ │ │volume m³ ┃
┗━━┷━━━━━━━━┷━━━━━━━━━━━━━━━━━━━━━━━━━━━━━━━━━━━━━━┛
5.3 원유 세정 설비:
Crude oil washing(COW):
5.3.1 이 선박은 제33규칙에 적합한 원유 세정 설비를 비치하고 있다.
The ship is equipped with a COW system in compliance with Regulation 33.□
5.3.2 이 선박은 제33규칙에 적합한 원유 세정 설비를 비치하고 있으나 그 유효성은 제33.1규칙 및
개정된 원유 세정설비의 명세서[결의 A.497(?) 및 A.897(21)로 수정된 결의 A.446(?)]의
4.2.10의 규정에 의하여 확인된 것은 아니다.
The ship is equipped with a COW system in compliance with Regulation 33 except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has not been confirmed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33.1 and paragraph 4.2.10 of the Revised COW Specifications[resolution A.446(?) as
amended by resolutions A.497(?) and A.897(21)].□
5.3.3 이 선박은 년 월 일자의 유효한 원유 세정 설비 조작 및 설비 지침서를
비치하고 있다.
The ship has been supplied with a valid Crude Oil Washing Operation and Equipment
Manual, which is dated .
5.3.4 이 선박은 개정된 원유 세정 설비의 명세서[결의 A.497(?) 및 A.897(21)로 수정된 결의
A.446(?)]의 안전 요건에 적합한 원유세정설비를 비치할 것이 요구되지 않으나 그 설비를
비치하고 있다.
The ship is not required to be but is equipped with COW in compliance with the safety
aspects of Revised COW Specifications[resolution A.446(?) as amended by resolutions
A.497(?) and A.897(21)].
5.4 화물창의 크기 및 배치의 제한(제26규칙):
Limitation of size and arrangements of cargo tanks(Regulation 26):
5.4.1 이 선박은 제26규칙의 요건에 따라 건조되도록 요구되어 있고 또한 동 규칙에 적합하다.
The ship is required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and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26.□
5.4.2 이 선박은 제26.4규칙의 요건에 따라 건조되도록 요구되어 있고 또한 동 규칙에 적합하다(제
2.2규칙 참조).
The ship is required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and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26.4(See Regulation 2.2).□
━━━━━━━━━━━━━━━━━━━━━━━━━━━━━━━━━━━━━━━━━━━━━━━━━━━━


(21쪽 중 제16쪽)

5.5 구획 및 복원성(제28규칙):
Subdivision and stability(Regulation 28):
5.5.1. 이 선박은 제28규칙의 요건에 따라 건조되도록 요구되어 있고 또한 동 규칙에 적합하다.
The ship is required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and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28.□
5.5.2 제28.5규칙에서 요구되는 정보 및 자료는 승인된 양식으로 이 선박에 비치되어 있다.
Information and data required under Regulation 28.5 have been supplied to the ship in
an approved form.□
5.5.3 이 선박은 제27규칙의 요건에 따라 건조되도록 요구되며 또한 동 규칙에 적합하다.
The ship is required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and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27.□
5.5.4 겸용선을 위한 제27규칙에서 요구되는 정보 및 자료는 주관청에 의해 승인된 문서로 이 선
박에 비치되어 있다.
Information and data required under Regulation 27 for combination carriers have been supplied
to the ship in a written procedure approved by the Administration.□
5.5.5. 이 선박은 제28(6)규칙에 적합한 승인된 복원성 계산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The ship is provided with an Approved Stability Instrument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28(6).□
5.5.6 이 선박은 제3.6규칙에 따르는 조건으로 제28(6)규칙이 면제된다. 복원성은 다음의 방법으
로 검증한다.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28(6) are waived in respect of the ship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3.6. Stability is verified by the following means:
.1 제28(5)규칙에 따라 선장에게 제공된 복원성자료에 정의된 방식으로만 적하한다.
loading only to approved conditions defined in the stability information provided to the
master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28(5)□
.2 주관청에 의해 승인된 방법으로 원격으로 검증한다.
verification is made remotely by a means approved by the Administration.□
.3 제28(5)규칙에 따라 선장에게 제공된 복원성자료에 승인된 적하범위 내에서 적하한다.
loading within an approved range of loading conditions defined in the stability information
provided to the master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28(5)□
.4 제28(5)규칙에 따라 선장에게 제공된 복원성자료에 규정되어 있는 승인된 KG/GM값에 적합
한 손상/비손상복원성 요건에 따라 적하한다.
loading in accordance with approved limiting KG/GM curves covering all applicable intact
and damage stability requirements defined in the stability information provided to the
master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28(5)□

5.6 이중선체구조:
Double hull construction:
5.6.1 이 선박은 제19규칙에 따라서 건조될 것이 요구되며 다음의 요건에 적합하다 :
The ship is required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Regulation 19 and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1 제(3)항(이중선체구조)
paragraph(3)(double hull construction)□
.2 제(4)항(이중선측의 중간갑판구조유조선)
paragraph(4)(mid-height deck tankers with double side construction)
.3 제(5)항(해양환경보호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대체 방법)
paragraph(5)(alternative method approved by the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5.6.2 이 선박은 제19.6규칙에 따라 건조될 것이 요구되며 그 요건에 적합하다.
The ship is required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and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19.6.□
5.6.3 이 선박은 제19규칙의 요건에 적합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The ship is not required to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19.□





(21쪽 중 제17쪽)


5.6.4 이 선박은 제20규칙을 적용받고,
The ship is subject to Regulation 20 and;
.1 까지 제19규칙의 2항부터 5항까지, 7항 및 8항, 그리고 제28.6항과 관련
하여 제28규칙에 적합할 것이 요구된다.
is required to comply with paragraphs 2 to 5, 7 and 8 of regulation 19 and regulation 28
in respect of paragraph 28.6 not later than .□
.2 까지 제20.5규칙에 따라 계속적인 운항이 허용된다.
is allowed to continu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20.5 until .□
.3 까지 제20.7규칙에 따라 계속적인 운항이 허용된다.
is allowed to continu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20.7 until .□
5.6.5 이 선박은 제20규칙을 적용받지 않는다.
The ship is not subject to Regulation 20 (check which box(es) apply).
.1 이 선박은 재화중량톤수 5,000톤 미만이다.
The ship is less than 5,000 tonnes deadweight.□
.2 이 선박은 제20.1.2규칙에 적합하다.
The ship complies with regulation 20.1.2.□
.3 이 선박은 제20.1.3규칙에 적합하다.
The ship complies with regulation 20.1.3.□
5.6.6 이 선박은 제21규칙을 적용받고,
The ship is subject to Regulation 21 and;
.1 까지 제21.4규칙에 적합할 것이 요구된다.
is required to comply with Regulation 21.4 not later than .□
.2 까지 제21.5규칙에 따라 계속적인 운항이 허용된다.
is allowed to continu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21.5
until .□
.3 까지 제21.6.1규칙에 따라 계속적인 운항이 허용된다.
is allowed to continu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21.6.1
until .□
.4 까지 제21.6.2규칙에 따라 계속적인 운항이 허용된다.
is allowed to continu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21.6.2
until .□
.5 까지 제21.7.2규칙에 따라 제21규칙의 조항은 면제된다.
is exempted from the provisions of regulation 21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21.7.
2 until .□
5.6.7 이 선박은 제21규칙을 적용받지 않는다.
The ship is not subject to Regulation 21 (check which box(es) apply).
.1 이 선박은 재화중량톤수 600톤 미만이다.
The ship is less than 600 tonnes deadweight.□
.2 이 선박은 제19규칙에 적합하다(재화중량톤수 5,000톤 이상).
The ship complies with regulation 19 (Deadweight tonnes?5,000).□
.3 이 선박은 제21.1.2규칙에 적합하다.
The ship complies with regulation 21.1.2.□
.4 이 선박은 제21.4.2규칙에 적합하다(재화중량톤수 600톤 이상 5,000톤 미만).
The ship complies with regulation 21.4.2 (600?Deadweight tonnes<5,000).□
.5 이 선박은 해양오염방지협약 부속서 Ⅰ 제21.2규칙에 정의된 "중질유"를 운송하지 않는다.
The ship dose not carry "heavy grade oil" as defined in regulation 21.2 of MARPOL Annex Ⅰ.




(21쪽 중 제18쪽)
━━━━━━━━━━━━━━━━━━━━━━━━━━━━━━━━━━━━━━━━━━━━━━━━━━━
5.6.8 이 선박은 제22규칙에 적용을 받고,
The ship is subject to regulation 22 and:□
.1 제22.2규칙의 요구조건에 적합하다.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22.2.□
.2 제22.3규칙의 요구조건에 적합하다.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22.3.□
.3 제22.5규칙의 요구조건에 적합하다.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22.5.□
5.6.9 이 선박은 제22규칙을 적용받지 않는다.
The ship is not subject to regulation 22.□
5.7 사고로 인한 기름유출 성능 요건 비율
Accidental oil outflow performance
5.7.1 이 선박은 제23규칙의 요건에 만족한다.
The ship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23.□

6. 기름의 선내저유(제29, 31 및 32규칙)
RETENTION OF OIL ON BOARD(Regulation 29, 31, and 32)
6.1 선박평형수 배출감시제어장치:
Oil discharg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6.1.1 이 선박은 결의 A.496(?) 또는 A.586(14)에서 정의된 유조선으로 분류된 것이다.
The ship comes under category oil tanker as defined in resolution A.496(?)
or A.586(14).
6.1.2 이 선박평형수 배출감시제어 시스템은 결의 MEPC.108(49)에 따라 승인된 것이다.
The oil discharg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has been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MEPC.108(49).□
6.1.3 이 장치는 다음 것으로 구성된다:
The system comprises:
.1 감시장치
control unit□
.2 연산장치
computing unit□
.3 계산장치
calculating unit□
6.1.4 이 장치는 다음 것을 비치하고 있다:
The system is:
.1 시동 연동 장치
fitted with a starting interlock□
.2 자동 배출 정지 장치
fitted with automatic stopping device□
6.1.5 유분농도계는 다음의 기름에 적합한 것으로서 결의 A.393(Ⅹ) 또는 A.586(14) 또는
MEPC.108(49)에 의하여 승인되었다:
The oil content meter is approved under the terms of resolution A.393(Ⅹ) or A.586(14)
or MEPC.108(49) suitable for:□
.1 원유
crude oil□
.2 중질 정제유
black products□
.3 경질 정제유
white products□
6.1.6 이 선박은 선박평형수 배출감시제어장치를 위한 조작 지침서를 비치하고 있다.
The ship has been supplied with an operations manual for the oil discharg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


(21쪽 중 제19쪽)
━━━━━━━━━━━━━━━━━━━━━━━━━━━━━━━━━━━━━━━━━━━━━━━━━━━━

6.2 혼합물탱크:
Slop tanks:
6.2.1 이 선박은 다음 규정에 따라 개의 혼합물탱크를 비치하고 있고, 그 총용량은 화물창 총
적재용량의 퍼센트에 해당하는 세제곱미터이다:
The ship is provided with dedicated slop tank(s) with the total capacity
of ㎥ which is % of the oil carrying capacity, in accordance with:
.1 제29.2.3규칙
Regulation 29.2.3.□
.2 제29.2.3.1규칙
Regulation 29.2.3.1.□
.3 제29.2.3.2규칙
Regulation 29.2.3.2.□
.4 제29.2.3.3규칙
Regulation 29.2.3.3.□
6.2.2 화물 탱크가 혼합물탱크로 지정되어 있다.
Cargo tanks have been designated as slop tanks.□
6.3 유수경계면검출기:
Oil/water interface detectors:
6.3.1 이 선박은 결의 MEPC.5(ⅩⅢ)에 따라 승인된 유수경계면검출기를 비치하고 있다.
The ship is provided with oil/water interface detectors approved under the terms of
resolution MEPC. 5(ⅩⅢ).□
6.4 제29, 31 및 32규칙의 면제:
Exemptions from Regulation 29, 31 and 32:
6.4.1 이 선박은 제2.4규칙에 따라 제29, 31 및 32규칙의 요건이 면제된다.
The ship is exempted from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29, 31 and 32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2.4.□
6.4.2 이 선박은 제2.2규칙에 따라 제29, 31 및 32규칙의 요건이 면제된다.
The ship is exempted from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29, 31 and 32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2.2.□
6.5 규칙의 면제:
Waiver of Regulation:
6.5.1 제31, 32규칙 요건은 제3.5규칙을 따르는 선박에 대해서는 면제된다.
이 선박은 다음의 항해에만 전적으로 종사한다.: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31 and 32 are waived in respect of the ship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3.5. The ship is engaged exclusively on:
.1 제2.5규칙의 특수 운송:
Specific trade under Regulation 2.5: □
.2 국제 특별 해역 내의 항해:
Voyages within special area(s):□
.3 국제 특별해역 외에 있어서 가장 가까운 육지로부터 50마일 이내이며 항해 기간이 72시간
이내로서 다음으로 제한된 항해:
Voyages within 50 nautical miles of the nearest land outside special area(s) of 72
hours or less in duration restricted to: □
━━━━━━━━━━━━━━━━━━━━━━━━━━━━━━━━━━━━━━━━━━━━━━━━━━━━


(21쪽 중 제20쪽)
━━━━━━━━━━━━━━━━━━━━━━━━━━━━━━━━━━━━━━━━━━━━━━━━━━━━━━━━━━

7. 펌핑, 배관 및 배출 설비(제30규칙)
PUMPING, PIPING AND DISCHARGE ARRANGEMENTS(Regulation 30)
7.1 분리평형수의 선외 배출구는:
The overboard discharge outlets for segregated ballast are located:
7.1.1 흘수선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above the waterline.□
7.1.2 흘수선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below the waterline.□
7.2 배출용 매니폴드 이외의 맑은평형수의 선외 배출구는:
The overboard discharge outlets, other than the discharge manifold, for clean ballast
are located :
7.2.1 흘수선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above the waterline.□
7.2.2 흘수선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below the waterline.□
7.3 배출용 매니폴드 이외의 오염된 평형수 또는 화물창구역으로부터 기름으로 오염된 물의 선외
배출구는:
The overboard discharge outlets, other than the discharge manifold, for dirty ballast
water or oil contaminated water from cargo tank areas are located:
7.3.1 흘수선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above the waterline.□
7.3.2 제30.6.5규칙에 적합한 파트플로우 장치를 비치하고 흘수선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below the waterline in conjunction with the part flow.
arrangements in compliance with Regulation 30.6.5.□
7.3.3 흘수선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below the waterline.□
7.4 화물유펌프 및 화물유관으로부터의 기름의 배출(제30.4 및 30.5규칙):
Discharge of oil from cargo pumps and oil lines(Regulation 30.4 and 30.5):
7.4.1 화물유의 양하 완료 후 모든 화물유펌프 및 화물유관의 드레인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
Means to drain all cargo pumps and oil lines at the completion of cargo discharge
.1 화물 탱크 또는 혼합물탱크에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 배출장치
drainings capable of being discharged to a cargo tank or slop tank □
.2 육상에 배출하기 위한 직경이 작은 관로가 비치되어 있다.
for discharge ashore a special small diameter line is provided.□

8. 선상기름/해양오염 비상계획(제37규칙)
SHIPBOARD OIL/MARINE POLLUTION EMERGENCY PLAN(Regulation 37)
8.1 이 선박은 제37규칙에 따라 기름의 선박해양오염비상계획서를 비치하고 있다.
The ship is provided with a shipboard oil pollution emergency plan in compliance with Regulation 37.

8.2 이 선박은 제37.3규칙에 따라 선박해양오염비상계획서를 비치하고 있다.
The ship is provided with a shipboard marine pollution emergency plan in compliance with Regulation 37.3.


8A. 해상에서 선박대선박 기름화물이송(제41규칙)
Ship-to-ship oil transfer operations at sea(regulation 41)
8A.1 이 유조선은 제41규칙에 적합한 선박대선박 기름화물이송계획서를 비치하고 있다.
The oil tanker is provided with an STS operations Plan in compliance with regulation 41.□

━━━━━━━━━━━━━━━━━━━━━━━━━━━━━━━━━━━━━━━━━━━━━━━━━━━━━━━━━━


(21쪽 중 제21쪽)
━━━━━━━━━━━━━━━━━━━━━━━━━━━━━━━━━━━━━━━━━━━━━━━━━━━━━━

9. 면제
EXEMPTION
9.1 이 기록의 항의 항목에 대하여 협약 부속서 Ⅰ 제3장의 요건은 제3.1규칙에 따라 주관청에
의하여 면제되어 있다.
Exemptions have been granted by the Administration from the requirements of Chapter 3 of Annex Ⅰ
the convention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3.1 on those items listed under paragraph(s) of
this Record.□

10. 동등물(제5규칙)
EQUIVALENTS(Regulation 5)
10.1 이 기록의 항의 항목에 대하여 부속서Ⅰ의 요건의 동등물이 주관청에 의하여 승인되어 있다.
Equivalents have been approved by the Administration for certain requirements of Annex Ⅰ on
those items listed under paragraph(s) ___of this Record.□

11. 극지운항선박규칙의 Part II-A/1장의 준수
Compliance with part II-A ? chapter 1 of the Polar Code
11.1 이 선박은 극지운항선박규칙의 Part II-A/1장의 1.2절 및 도입부의 환경 관련 규정의 추가 요
건들을 준수하고 있다.
The ship is in compliance with additional requirements in the environment-related provisions
of the introduction and section 1.2 of chapter 1 of part II-A of the Polar code.□

이 기록은 모든 점에서 틀림없음을 증명합니다.
This is to certify that this record is correct in all respects.
에서 발행합니다.
Issued at .





━━━━━━━━━━━━━━━━━━━━━━━━━━━━━━━━━━━━━━━━━━━━━━━━━━━━━━

━━━━━━━━━━━━━━━━━━━━━━━━━━━━━━━━━━━━━━━━━━━━━━━━━━━━━━
지방해양수산청장 ??
(Administrator of the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선박안전기술공단이사장 ??
(Chief Director of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선급법인의 장 ??
(President of Classification Society)
━━━━━━━━━━━━━━━━━━━━━━━━━━━━━━━━━━━━━━━━━━━━━━━━━━━━━━


■ 선박에서의 오염방지에 관한 규칙 [별지 제29호서식] (9쪽 중 제1쪽)

증서번호 제 호
Cert. No.



국제대기오염방지증서
INTERNATIONAL AIR POLLUTION PREVENTION(IAPP) CERTIFICATE
대 한 민 국
REPUBLIC OF KOREA

2008년 해양환경보호위원회 결의서 MEPC.176(58)에 따라 개정된 「1978년 의정서 및 1997년 의정서에
따라 개정된 1973년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이하 "협약"이라 한다)에 따라
대한민국정부의 권한으로 에서 발행합니다.
Issued under the provisions of the Protocol of 1997, as amended by resolution MEPC.176(58) in 2008, to
amend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1973, as modified by the
Protocol of 1978 related thereto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vention") under the authority of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by .

┏━━━━━━┯━━━━━━━━━┯━━━━━━━━┯━━━━━━━┯━━━━━━━━━━━━━━━━━━━━━━━┓
┃선명 │선박번호 │선적항 │총톤수 │국제해사기구 ┃
┃Name of Ship│또는 호출부호 │Port of registry│Gross tonnage │(IMO) 번호 ┃
┃ │Distinctive Number│ │ │IMO Number ┃
┃ │or Letters │ │ │ ┃
┠──────┼─────────┼────────┼───────┼───────────────────────┨
┃ │ │ │ │ ┃
┗━━━━━━┷━━━━━━━━━┷━━━━━━━━┷━━━━━━━┷━━━━━━━━━━━━━━━━━━━━━━━┛

이 증서는 다음 사항을 증명합니다.:
THIS IS TO CERTIFY:
1. 이 선박은 협약 부속서 VI의 제5규칙에 따라 검사를 받았음.
That the ship has been surveyed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5 of Annex VI of the Convention, and

2. 검사의 결과 이 선박의 설비, 장치, 부착물, 배치 및 재료는 이 협약의 부속서 VI의 해당 요건에
적합함.
That the survey shows that the equipment, systems, fittings, arrangements and materials fully comply with the
applicable requirements of Annex VI of the Convention.

증서 발행을 위한 검사 완료일: 년 월 일
Completion date of survey on which this Certificate is based:

이 증서는 협약 부속서 Ⅵ의 제5규칙에 따라 검사를 받는 것을 조건으로 년 월
일 까지 유효합니다.
This Certificate is valid until subject to surveys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5 of Annex
VI of the Convention.

년 월 일 에서 발행합니다.

Issued at .




지방해양수산청장 ??
(Administrator of the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선박안전기술공단이사장 ??
(Chief Director of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선급법인의 장 ??
(President of Classification Society)


210㎜×297㎜(백상지 120g/㎡)



(9쪽 중 제2쪽)

제2종 중간 검사 및 제1종 중간 검사에 관한 이서
ENDORSEMENT FOR ANNUAL AND INTERMEDIATE SURVEYS



이 증서는 협약 부속서 Ⅵ의 제5규칙에 따라 요구되는 검사의 결과, 이 선박이 같은 부속서의 관련
규정에 적합함을 증명합니다 :
THIS IS TO CERTIFY that at a survey required by regulation 5 of Annex Ⅵ of the Convention,
the ship was found to comply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at Annex:



제2종 중간 검사 서명
Annual Survey: Signed:

장소

Place:

날짜(일/월/년)

Date:



제2종 중간*/제1종 중간*검사 서명
Annual* / Intermediate* Survey Signed:

장소

Place:

날짜(일/월/년)

Date:



제2종 중간* / 제1종 중간*검사 서명
Annual* / Intermediate* Survey Signed:

장소

Place:

날짜(일/월/년)

Date:



제2종 중간 검사 서명
Annual Survey: Signed:

장소

Place:

날짜(일/월/년)

Date:


───────────────
*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 Delete as appropriate.



(9쪽 중 제3쪽)

제9.8.3규칙에 따른 제2종 중간/제1종 중간 검사
Annual/intermediate survey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9.8.3


이 증서는 협약 부속서 Ⅵ 제9.8.3규칙에 따른 제2종중간*/제1종중간* 검사의 결과, 이 선박이 부속서의
관련 규정에 적합함을 증명합니다.
THIS IS TO CERTIFY that, at an annual*/intermediate* survey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9.8.3 of
Annex Ⅵ of the Convention, the ship was found to comply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at Annex:

서명
Signed:

장소

Place:

날짜(일/월/년)

Date:



증서의 유효기간이 5년 미만일 때 제9.3규칙을 적용하여 증서의 유효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이서
Endorsement to extend the certificate if valid for less than 5 years where regulation 9.3 applies


이 선박이 협약 부속서의 관련 규정에 적합하므로, 부속서 Ⅵ 제9.3규칙에 따라 이 증서는
년 월 일 까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한다.
The ship complies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Annex, and this certificate shall,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9.3 of Annex Ⅵ of the Convention, be accepted as valid until


서명
Signed:

장소

Place:

날짜(일/월/년)

Date:



정기검사 완료 후 제9.4규칙을 적용하여 증서의 유효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이서
Endorsement where the renewal survey has been completed and regulation 9.4 applies


이 선박이 협약 부속서의 관련 규정에 적합하므로, 부속서 Ⅵ 제9.4규칙에 따라 이 증서는
년 월 일 까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한다.
The ship complies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Annex, and this certificate shall,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9.4 of Annex Ⅵ of the Convention, be accepted as valid until


서명
Signed:

장소

Place:

날짜(일/월/년)

Date:
───────────────
*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 Delete as appropriate.



(9쪽 중 제4쪽)

제9.5규칙 또는 제9.6규칙을 적용하여, 검사를 받기로 되어 있는 항만에 도착할 때까지 또는
유예기간까지 증서의 유효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이서
Endorsement to extend the validity of the certificate until reaching the port of survey or for
a period of grace where regulation 9.5 or 9.6 applies


이 증서는 협약 부속서 Ⅵ 제9.5규칙* 또는 제9.6규칙*에 따라 년 월 일 까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한다.
This certificate shall,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9.5* or 9.6* of Annex Ⅵ of the
Convention, be accepted as valid until

서명
Signed:

장소

Place:

날짜(일/월/년)

Date:



제9.8규칙을 적용하여 연차일을 앞당기기 위한 이서
Endorsement for advancement of anniversary date where regulation 9.8 applies


이 협약의 부속서 Ⅵ 제9.8규칙에 따라 새로운 연차일은 년 월 일 이다.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9.8 of Annex Ⅵ of the Convention, the new anniversary
date is

서명
Signed:

장소

Place:

날짜(일/월/년)

Date:




이 협약의 부속서 Ⅵ 제9.8규칙에 따라 새로운 연차일은 년 월 일 이다.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9.8 of Annex Ⅵ of the Convention, the new anniversary
date is

서명
Signed:

장소

Place:

날짜(일/월/년)

Date:


───────────────
* 해당되지 않으면 지울 것.
* Delete as appropriate.



(9쪽 중 제5쪽)

국제대기오염방지증서 추록
SUPPLEMENT TO INTERNATIONAL AIR POLLUTION PREVENTION CERTIFICATE (IAPP CERTIFICATE)
구조 및 설비의 기록부
RECORD OF CONSTRUCTION AND EQUIPMENT

┌─────────────────────────────────────────────────────┐
│주: Notes: │
│1. 이 기록부는 IAPP 증서에 영구적으로 첨부되어야 한다. IAPP 증서는 언제나 선내에 비치해야 한다. │
│ This Record shall be permanently attached to the IAPP Certificate. The IAPP Certificate shall be │
│available on board the ship at all times. │
│2. 이 기록부는 한글과 영어로 작성한다. │
│ The Record shall be in Korean and English. │
│3. 네모 빈 칸에는 답이 "예"와 "적용"인 경우에 "X"로, "아니오"와 "비적용"인 경우에 "-"로 적절히 표기해야 │
│한다. │
│ Entries in boxes shall be made by inserting either a cross (x) for the answer "yes" and "applicable" │
│or a (-) for the answers "no" and "not applicable" as appropriate. │
│4. 별도로 기술하지 않으면, 이 기록부에서 규칙이란 협약 부속서 Ⅵ의 규칙을 말하며, 결의서나 회람이란 │
│국제해사기구에서 채택된 것을 말한다. │
│ Unless otherwise stated, regulations mentioned in this Record refer to regulations of Annex VI of the │
│Convention and resolutions or circulars refer to those adopted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
│Organization. │
└─────────────────────────────────────────────────────┘

1. 선박의 주요 항목:
PARTICULARS OF SHIP:

1.1 선명:
Name of ship:
1.2 국제해사기구(IMO) 번호:
IMO number:
1.3 용골이 거치되거나 또는 이와 동등한 건조단계에 도달한 날짜:
Date on which keel was laid or ship was at a similar stage of construction:
1.4 길이(L)# 미터:
Length(L)# metres:

# 2016년 1월 1일 이후 건조되고 여가활동 목적으로만 특별히 설계된 선박으로써,
제13.5.2.1규칙 또는 제13.5.2.3규칙에 따라 제13.5.1.1규칙에 따른 NOx 배출기준이
적용되지 않은 선박인 경우에만 작성한다.
# Completed only in respect of ships constructed on or after 1 January 2016 that are
specially designed, and used solely for recreational purposes and to which,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13.5.2.1 or regulation 13.5.2.3, the NOx emission limit as given by regulation
13.5.1.1 will not apply.


2. 선박으로부터 배출통제
CONTROL OF EMISSIONS FROM SHIPS

2.1 오존층파괴물질(제12규칙)
Ozone depleting substances(regulation 12)
2.1.1 2005년 5월 19일 전에 설치된 염화불화탄화수소(HCFCs)를 제외한 오존파괴물질을 포함하는 다음의
소화장치, 기타 장치 및 장비는 계속 사용할 수 있다.
┏━━━━━━━━━━┯━━━━━━━━━┯━━━━━┓ The following fire extinguishing systems, other systems and equipment containing ozone
┃장치 또는 장비 │선내 위치 │물질 ┃
┃System or equipment │Location on board │Substance ┃
┠──────────┼─────────┼─────┨
┃ │ │ ┃
┗━━━━━━━━━━┷━━━━━━━━━┷━━━━━┛
depleting substances, other than hydro-chlorofluorocarbons(HCFCs), installed before 19 May
2005 may continue in service:




(9쪽 중 제6쪽)


2.1.2 2020년 1월 1일 전에 설치된 염화불화탄화수소(HCFCs)를 내장하고 있는 다음의 장치는 계속 사용할 수 있다.
The following system containing hydro-chlorofluorocarbons(HCFCs) installed before 1 January
2020 may continue in service:
┏━━━━━━━━━━━┯━━━━━━━━━━━━━━━━━━━━━━━━━┯━━━━━━━━━━━━━━━━━━━┓
┃장치 또는 장비 │선내 위치 │물질 ┃
┃System or Equipment │Location on board │Substance ┃
┠───────────┼─────────────────────────┼───────────────────┨
┃ │ │ ┃
┗━━━━━━━━━━━┷━━━━━━━━━━━━━━━━━━━━━━━━━┷━━━━━━━━━━━━━━━━━━━┛

2.2 질소산화물(NOx) (제13규칙)
Nitrogen oxides(NOx) (regulation 13)

2.2.1 이 선박에 설치된 다음의 디젤기관은 제13규칙의 해당 배출 기준을 만족한다.
The following marine diesel engines installed on this ship are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regulation 13, as indicated:

┏━━━━━━━━━━━━━━━━━━━━━━━━━━━┯━━━━┯━━━━┯━━━━┯━━━━┯━━━━┯━━━━┓
┃해양오염방지협약 부속서 6의 해당 규칙 │기관 #1 │기관 #2 │기관 #3 │기관 #4 │기관 #5 │기관 #6 ┃
┃Applicable regulation of MARPOL Annex VI │Engine │Engine │Engine │Engine │Engine │Engine ┃
┃(NTC = 질소산화물 기술 기준 2008) │#1 │#2 │#3 │#4 │#5 │#6 ┃
┃(NTC = NOx Technical Code 2008) │ │ │ │ │ │ ┃
┃(AM = 승인된 방법) │ │ │ │ │ │ ┃
┃(AM = Approved Method) │ │ │ │ │ │ ┃
┠─┬─────────────────────────┼────┼────┼────┼────┼────┼────┨
┃1 │제조사 및 모델 │ │ │ │ │ │ ┃
┃ │Manufacturer and model │ │ │ │ │ │ ┃
┠─┼─────────────────────────┼────┼────┼────┼────┼────┼────┨
┃2 │제조 번호 │ │ │ │ │ │ ┃
┃ │Serial number │ │ │ │ │ │ ┃
┠─┼─────────────────────────┼────┼────┼────┼────┼────┼────┨
┃3 │용도(적용주기) │ │ │ │ │ │ ┃
┃ │Use(applicable applied cycle(s) - NTC 3.2) │ │ │ │ │ │ ┃
┠─┼─────────────────────────┼────┼────┼────┼────┼────┼────┨
┃4 │정격출력 (kW) │ │ │ │ │ │ ┃
┃ │Rated output(kW) (NTC 1.3.11) │ │ │ │ │ │ ┃
┠─┼─────────────────────────┼────┼────┼────┼────┼────┼────┨
┃5 │정격 속도 (RPM) │ │ │ │ │ │ ┃
┃ │Rated speed (RPM) (NTC 1.3.12) │ │ │ │ │ │ ┃
┠─┼─────────────────────────┼────┼────┼────┼────┼────┼────┨
┃6 │설치일(일/월/년) │ │ │ │ │ │ ┃
┃ │Identical engine installed ≥ 1/1/2000 exempted │ │ │ │ │ │ ┃
┃ │by 13.1.1.2 │ │ │ │ │ │ ┃
┠─┼─────────────────────────┼────┼────┼────┼────┼────┼────┨
┃7 │설치일(일/월/년) │ │ │ │ │ │ ┃
┃ │Identical engine installation date (dd/mm/yyyy) │ │ │ │ │ │ ┃
┃ │as per 13.1.1.2 │ │ │ │ │ │ ┃
┠─┼────────┬────────────────┼────┼────┼────┼────┼────┼────┨
┃8a│주요 개조일 │13.2.1.1 및 13.2.2 │ │ │ │ │ │ ┃
┃ │(일/월/년) │13.2.1.1 & 13.2.2 │ │ │ │ │ │ ┃
┠─┤Major conversion├────────────────┼────┼────┼────┼────┼────┼────┨
┃8b│(dd/mm/yyyy) │13.2.1.2 및 13.2.3 │ │ │ │ │ │ ┃
┃ │ │13.2.1.2 & 13.2.3 │ │ │ │ │ │ ┃
┠─┤ ├────────────────┼────┼────┼────┼────┼────┼────┨
┃8c│ │13.2.1.3 및 13.2.3 │ │ │ │ │ │ ┃
┃ │ │13.2.1.3 & 13.2.3 │ │ │ │ │ │ ┃
┠─┼────────┼────────────────┼────┼────┼────┼────┼────┼────┨
┃9a│배출기준 I │13.3 │□ │□ │□ │□ │□ │□ ┃
┃ │Tier I │13.3 │ │ │ │ │ │ ┃
┠─┤ ├────────────────┼────┼────┼────┼────┼────┼────┨
┃9b│ │13.2.2 │□ │□ │□ │□ │□ │□ ┃
┃ │ │13.2.2 │ │ │ │ │ │ ┃
┠─┤ ├────────────────┼────┼────┼────┼────┼────┼────┨
┃9c│ │13.2.3.1 │□ │□ │□ │□ │□ │□ ┃
┃ │ │13.2.3.1 │ │ │ │ │ │ ┃
┠─┤ ├────────────────┼────┼────┼────┼────┼────┼────┨
┃9d│ │13.2.3.2 │□ │□ │□ │□ │□ │□ ┃
┃ │ │13.2.3.2 │ │ │ │ │ │ ┃
┠─┤ ├────────────────┼────┼────┼────┼────┼────┼────┨
┃9e│ │13.7.1.2 │□ │□ │□ │□ │□ │□ ┃
┃ │ │13.7.1.2 │ │ │ │ │ │ ┃
┖─┴────────┴────────────────┴────┴────┴────┴────┴────┴────┚


(9쪽 중 제7쪽)
┎──┬──────┬───────────┬─┬─┬─┬─┬─┬─┒
┃10a │배출기준 II │13.4 │□│□│□│□│□│□┃
┃ │Tier II │13.4 │ │ │ │ │ │ ┃
┠──┤ ├───────────┼─┼─┼─┼─┼─┼─┨
┃10b │ │13.2.2 │□│□│□│□│□│□┃
┃ │ │13.2.2 │ │ │ │ │ │ ┃
┠──┤ ├───────────┼─┼─┼─┼─┼─┼─┨
┃10c │ │13.2.2 (배출기준 III │□│□│□│□│□│□┃
┃ │ │적용이 불가능한 경우) │ │ │ │ │ │ ┃
┃ │ │13.2.2 (Tier III not │ │ │ │ │ │ ┃
┃ │ │possible) │ │ │ │ │ │ ┃
┠──┤ ├───────────┼─┼─┼─┼─┼─┼─┨
┃10d │ │13.2.3.2 │□│□│□│□│□│□┃
┃ │ │13.2.3.2 │ │ │ │ │ │ ┃
┠──┤ ├───────────┼─┼─┼─┼─┼─┼─┨
┃10e │ │13.5.2 (면제) │□│□│□│□│□│□┃
┃ │ │13.5.2 (Exemptions) │ │ │ │ │ │ ┃
┠──┤ ├───────────┼─┼─┼─┼─┼─┼─┨
┃10f │ │13.7.1.2 │□│□│□│□│□│□┃
┃ │ │13.7.1.2 │ │ │ │ │ │ ┃
┠──┼──────┼───────────┼─┼─┼─┼─┼─┼─┨
┃11a │배출기준 III│13.5.1.1 │□│□│□│□│□│□┃
┃ │Tire III │13.5.1.1 │ │ │ │ │ │ ┃
┠──┤ ├───────────┼─┼─┼─┼─┼─┼─┨
┃11b │ │13.2.2 │□│□│□│□│□│□┃
┃ │ │13.2.2 │ │ │ │ │ │ ┃
┠──┤ ├───────────┼─┼─┼─┼─┼─┼─┨
┃11c │ │13.2.3.2 │□│□│□│□│□│□┃
┃ │ │13.2.3.2 │ │ │ │ │ │ ┃
┠──┤ ├───────────┼─┼─┼─┼─┼─┼─┨
┃11d │ │13.7.1.2 │□│□│□│□│□│□┃
┃ │ │13.7.1.2 │ │ │ │ │ │ ┃
┠──┼──────┼───────────┼─┼─┼─┼─┼─┼─┨
┃12 │승인된 방법*│도입됨 │□│□│□│□│□│□┃
┃ │AM* │installed │ │ │ │ │ │ ┃
┠──┤ ├───────────┼─┼─┼─┼─┼─┼─┨
┃13 │ │상업적 이용 불가 │□│□│□│□│□│□┃
┃ │ │not commercially │ │ │ │ │ │ ┃
┃ │ │available at the │ │ │ │ │ │ ┃
┃ │ │survey │ │ │ │ │ │ ┃
┠──┤ ├───────────┼─┼─┼─┼─┼─┼─┨
┃14 │ │적용제외 │□│□│□│□│□│□┃
┃ │ │not applicable │ │ │ │ │ │ ┃
┗━━┷━━━━━━┷━━━━━━━━━━━┷━┷━┷━┷━┷━┷━┛
* 승인된 방법을 위한 가이드라인 2014 참조 (MEPC.243(66) 결의)
* Refer to the 2014 Guidelines on the approved method process (Resolution MEPC.243(66))

2.3 황산화물(SOx)과 미립자 (제14규칙)
Sulphur oxides(SOx) and particulate matter (regulation 14)

2.3.1 선박이 제14.3규칙에 규정된 배출규제해역 밖에서 운항할 때에는 다음을 사용한다:
When the ship operates outside of an Emission Control Area specified in regulation 14.3, the
ship uses:

.1 연료유공급서에 의해 증명되고 황 함유량이 다음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연료유:
fuel oil with a sulphur content as documented by bunker delivery notes that does not
exceed the limit value of:
4.50% m/m (2012년 1월 1일 이후에는 적용되지 않음); 또는
? 4.50% m/m (not applicable on or after 1 January 2012); or □
3.50% m/m (2020년 1월 1일 이후에는 적용되지 않음); 또는
? 3.50% m/m (not applicable on or after 1 January 2020); or □
0.50% m/m, 및 / 또는
? 0.50% m/m, and / or □






(9쪽 중 제8쪽)

.2 2.6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4.1규칙에 따라 승인되고, 최소한 다음 황 함유량 기준에 따른
연료유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황산화물 배출 감축효과가 인정되는 동등한 설비:
an equivalent arrangement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4.1 as listed in 2.6
that is at least as effective in terms of SOx emission reductions as compared to using a
fuel oil with a sulphur content limit value of:
4.50% m/m (2012년 1월 1일 이후에는 적용되지 않음); 또는
? 4.50% m/m (not applicable on or after 1 January 2012); or □
3.50% m/m (2020년 1월 1일 이후에는 적용되지 않음); 또는
? 3.50% m/m (not applicable on or after 1 January 2020); or □
0.50% m/m
? 0.50% m/m □
2.3.2 선박이 제14.3규칙에 규정된 배출규제해역 안에서 운항할 때에는 다음을 사용한다:
When the ship operates inside an Emission Control Area specified in regulation 14.3, the ship uses:

.1 연료유공급서에 의해 증명되고 황 함유량이 다음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연료유:
fuel oil with a sulphur content as documented by bunker delivery notes that does not
exceed the limit value of:
1.00% m/m (2015년 1월 1일 이후에는 적용되지 않음); 또는
? 1.00% m/m (not applicable on or after 1 January 2015); or □
0.10% m/m 및 / 또는
? 0.10% m/m and / or □

.2 2.6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4.1규칙에 따라 승인되고, 최소한 다음 황 함유량 기준에 따른
연료유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황산화물 배출 감축효과가 인정되는 동등한 설비:
an equivalent arrangement approved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4.1 as listed in 2.6
that is at least as effective in terms of SOx emission reductions as compared to using a
fuel oil with a sulphur content limit value of:
1.00% m/m (2015년 1월 1일 이후에는 적용되지 않음); 또는
? 1.00% m/m (not applicable on or after 1 January 2015); or □
0.10% m/m
? 0.10% m/m □

2.4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제15규칙)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regulation 15)
2.4.1 유조선은 MSC/Circ.585에 따라 승인되고 설치된 유증기수집제어장치를 갖추고 있다.
The tanker has a vapour collection system installed and approved in accordance with
MSC/Circ.585.□
2.4.2.1 원유를 운반하는 탱커의 경우, 승인된 휘발성유기화합물관리계획서가 있다.
For a tanker carrying crude oil, there is an approved VOC Management Plan. □
2.4.2.2 휘발성유기화합물관리계획서 승인 참조사항
VOC Management Plan approval reference:

2.5 선내소각기 (제16규칙)
Shipboard incineration (regulation 16)

선박은 다음의 소각기를 비치하고 있다:
The ship has an incinerator:

.1 다음 결의서의 기준에 따라 2000년 1월 1일 이후에 설치된 소각기
installed on or after 1 January 2000 which complies with:
. 1 결의서 MEPC.76(40) 및 개정사항
resolution MEPC.76(40), as amended* □
. 2 결의서 MEPC.244(66)
resolution MECP.244(66) □



(9쪽 중 제9쪽)



.2 다음 결의서의 기준에 따라 2000년 1월 1일 전에 설치된 소각기
installed before 1 January 2000 which complies with:
. 1 결의서 MEPC.59(33) 및 개정사항
resolution MEPC 59(33), as amended** □
. 2 결의서 MEPC.76(40) 및 개정사항
resolution MEPC 76(40), as amended* □

2.6 동등물 (제4규칙)
Equivalents (regulation 4)

이 선박은 이 부속서에 의해 요구되는 기준에 대한 대체수단으로서 다음의 부속품, 재료, 선박 또는 그
밖의 절차에서 갖추어야 할 기기나 장비, 대체연료유 또는 이행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
The ship has been allowed to use the following fitting, material, appliance or apparatus to be
fitted in a ship or other procedures, alternative fuel oils, or compliance methods used as an
alternative to that required by this Annex:

┏━━━━━━━━━━┯━━━━━━━━┯━━━━━━━━━┓
┃장치 또는 장비 │사용된 동등물 │승인 참조 ┃
┃System or Equipment │Equivalent used │Approval reference┃
┠──────────┼────────┼─────────┨
┃ │ │ ┃
┗━━━━━━━━━━┷━━━━━━━━┷━━━━━━━━━┛


이 증서의 기록은 틀림이 없음을 증명합니다.
THIS IS TO CERTIFY that this Record is correct in all respects.

년 월 일 에서 발행합니다.
Issued at .
(Place of issue of the Record) (Date of issue)






지방해양수산청장 ??
(Administrator of the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선박안전기술공단이사장 ??
(Chief Director of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선급법인의 장 ??
(President of Classification Society)


──────────────────────
* 결의서 MEPC.93(45)에 의한 개정
As amended by Resolution MEPC.93(45)
** 결의서 MEPC.92(45)에 의한 개정
As amended by Resolution MEPC.92(45)





개정이유
						[일부개정]
◇ 개정이유
「해양환경관리법」의 개정으로 선박에서 발생한 폐기물의 배출률 승인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승인 대상폐기물 및 승인 절차 등을 정하고, 「1978년 의정서에 의하여 개정된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1973년 국제협약」에 따른 관련 국제 기준의 개정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 계산 대상선박 및 선박에너지효율관리계획서의 비치 대상선박을 조정하며, 선박에너지효율관리계획서의 기재사항 등을 보완하고, 황산화물 배출규제해역에서의 황산화물 배출제한기준량을 강화하는 한편,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에 대한 예비검사 제도를 도입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ㆍ보완하려는 것임.

◇ 주요내용
가. 선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배출률 승인(안 제13조의2 신설)
배출률 승인 대상폐기물을 분뇨저장탱크를 설치한 선박에서 발생하는 마쇄하지 않았거나 소독하지 않은 분뇨로 정하고, 배출률의 승인을 받으려는 자는 배출률 표를 작성하여 지방해양수산청장에게 제출하도록 하는 등 배출률 승인 절차를 마련함.

나.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 계산 대상선박의 조정 등(안 제30조의2, 별표 20의2 및 별표 20의3)
1) 매각ㆍ수리 등을 위해 예외적으로 국제항해를 하는 선박과 항만의 수심이나 재화중량톤수의 제한으로 일시적으로 지정된 건현(乾舷)이 증가되는 선박은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의 계산 대상선박에서 제외하고,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및 크루즈여객선은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의 계산 대상선박으로 추가함.
2) 재화중량톤수 250톤 이상 로로여객선 및 재화중량톤수 1만톤 이상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등을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 허용값을 초과하는 건조ㆍ개조가 금지되는 대상선박에 추가하고, 그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 허용값을 정함.

다. 선박에너지효율관리계획서의 비치 대상선박 조정 및 기재사항 등 보완(안 제30조의4 및 별표 20의4)
1) 추진기관이 없는 선박 및 매각ㆍ수리 등을 위해 예외적으로 국제항해를 하는 선박을 선박에너지효율관리계획서 비치 대상선박에서 제외함.
2) 총톤수 5천톤 이상의 선박은 선박에너지효율관리계획서에 선박에너지효율설계지수 등 선박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기재하도록 하고, 선박의 연료 사용량, 운항거리 및 운항시간에 대한 정보 수집 방법에 관한 사항 등을 포함하여 작성하도록 함.

라. 황산화물 배출규제해역에서의 황산화물 배출제한기준량 강화(안 제34조제2항)
황산화물 배출규제해역에서의 황산화물 배출제한기준량이 되는 배기가스 중 이산화황 배출량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비율을 종전의 43.3에서 4.3으로 강화함.

마.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에 대한 예비검사(안 제46조)
예비검사 대상이 되는 대기오염방지설비의 종류에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를 추가하고, 황산화물용 배기가스정화장치의 작동설명서, 기술 매뉴얼 및 선상 모니터링 매뉴얼 등의 서류를 첨부하여 지방해양수산청장에게 예비검사를 신청하도록 하며, 지방해양수산청장은 예비검사에 합격한 경우 황산화물 배출적합증서를 발급하도록 함.

바. 소형 유조선의 이중선저구조 적용시기 조정(안 별표 10)
현행 규정에 따라 2020년 1월 1일 전까지 소형선이중선저구조를 갖추어야 하는 2010년 전에 인도된 재화중량톤수 600톤 미만의 유조선의 경우 그 선령에 따라 소형선이중선저구조의 적용시기를 2022년 1월 1일 전까지 점진적으로 적용하도록 조정함.

사. 유조선에 대한 복원성 계산기기 비치 의무(안 별표 14)
총톤수 150톤 이상의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유조선의 소유자는 선박의 손상복원성 및 비손상 복원성을 검증할 수 있는 복원성 계산기기를 해당 선박에 비치하도록 하되, 예상가능한 모든 적재 상태를 포함하여 승인받은 복원성자료가 선장에게 제공된 선박 등은 비치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함.
<해양수산부 제공>



목록
이전글 지진ㆍ화산재해대책법 시행규칙
다음글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