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마우스 입력기

  • 한글
  • 영문

내가 찾은 검색어

|

법령검색 방법 상세내용 확인
  1. 메인페이지로 이동

* 더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더많은 탭메뉴를 보실 수 있습니다.

닫기
닫기

중앙부처 법령 유권해석 이미지

  • 중앙부처 법령 유권해석은 내고장알리미
    이용해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바로 확인이 가능
    합니다.
내고장알리미>중앙부처 법령 유권해석

자치법규 (0건)

선택
선택

판례 (338건)

더보기

법제처해석례 (681건)

더보기

행정심판재결례 (1,203건)

더보기

중앙부처 1차 해석 (413건)

더보기

근대법령 (0건)

생활법령 (42건)

  • 병역의무자(대체역)>대체복무요원의 소집 및 복무>대체복무요원의 복무 등>복무의 감면 및 종료

    ... 사람 전상 공상으로 인한 장애인 상이등급 6급 이상 ※ 전몰군경(戰歿軍警): 군인이나 경찰공무원으로서 전투 또는 이에 준하는 직무수행 중 사망한 사람(군무원으로서 1959년 12월 31일 이전에 전투... 있는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 중 사망한 사람(질병으로 사망한 사람도 포함) ※ 상이(傷痍)등급은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3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복무기간 단축을...

  • 병역의무자(대체역)>대체복무요원의 소집 및 복무>대체복무요원의 복무 등>보장 내용

    ... 복무 중인 사람은 복무 만료 예정일 전 6개월 전부터 복무를 마친 사람으로 간주되어 채용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병역법」 제74조의2 및 「병역법 시행령」 제151조의2).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고용주는 소속 공무원이나 임직원이 대체복무요원 복무를 하게 된 경우에는 휴직하게 하고, 그 복무를 마치면 복직시켜야 합니다. 다만, 그 공무원이나 임직원이 복무 중 범죄행위로 인하여 제적...

  • 병역의무자(보충역)>보충역 복무>사회복무요원>사회복무요원의 복무

    ... 경우에는 합숙근무를 할 수 있습니다(「병역법」 제31조제4항). 사회복무요원의 근무시간은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9조를 적용합니다(「병역법 시행령」 제58조제1항 및 「사회복무요원 복무관리 규정」...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기간 √ 공무에 관하여 국회, 법원, 검찰, 그 밖의 국가기관에 소환된 경우 √ 법률의 규정에 따라 투표에 참가하려는 경우 √ 천재지변, 교통 두절, 그...

  • 병역의무자(보충역)>보충역 복무>사회복무요원>사회복무요원의 개념 및 소집

    ... 훈령 제2068호, 2024. 5. 17. 발령 시행) 제2조제3호]. 사회복무요원은 복무 분야를 지정받아 복무하게 되며, 사회복무요원의 직무상 행위는 공무수행으로 보아 「국가공무원 복무규정」이 적용됩니다. 또한, 사회복무요원은 출퇴근 근무하며, 소속기관장(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단체의 장)의 지휘 감독을 받습니다(「병역법」 제31조제4항, 제31조의2제1항 및 「사회복무요원 복무관리 규정」 제8조제1항)....

  • 병역의무자(대체역)>예비군대체복무>예비군대체복무의 의의와 소집>예비군대체복무 및 소집해제

    ... 소집 등에 응하여 의무를 이행하는 학생에 대해 그 소집된 기간을 결석으로 처리하거나 그 소집을 이유로 불리하게 처우해서는 안됩니다(「병역법」 제74조의3제2호).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고용주는 소속 공무원 또는 소속 임직원이 소집 등에 응하여 그 의무를 이행하는 때에는 그 소집된 기간을 휴무로 처리하거나 그 소집을 이유로 불리하게 처우해서는 안됩니다(「병역법」...

더보기

조약 (0건)

용어 (0건)

법령용어사전 결과(0건)

법령정의사전 결과(0건)

법령한영사전 결과(0건)

한눈보기 콘텐츠 (0건)